與 의총 ‘전당대회 룰’ 논의… 계파별 셈법 제각각

與 의총 ‘전당대회 룰’ 논의… 계파별 셈법 제각각

입력 2011-05-26 00:00
업데이트 2011-05-26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이 “당헌개정” 판흔들기 책임 당원 우선권도 쟁점

한나라당이 25일 의원총회와 국회의원·당협위원장 연석회의를 잇따라 열고 논의한 전당대회 ‘룰’에는 당내 각 세력들 간의 복잡한 셈법이 담겨 있다. 일단 주요 쟁점사항에 대해 큰 틀에서는 의견이 모인 듯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여전히 ‘동상이몽’이다.

당 비대위가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국회의원과 원외 당협위원장 2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공교롭게도 박근혜 전 대표의 입장과 맞아 떨어졌다.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현 당헌에 대해 응답자의 50.9%가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47.3%는 통합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를 두고 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은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바뀔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면서 “분리하자는 의견이 70~80%는 나와야 가능할 텐데 51%로는 힘들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사실상 정리가 됐다는 얘기다.

그러나 이날 의총에서 친이계·구주류 의원들은 설문조사의 응답률이 65%에 그쳐 압도적인 찬성이라 볼 수 없다며 개정을 거듭 주장했다. 차기 유력 주자들이 모두 전당대회를 계기로 본격적인 경쟁을 시작해야 한다는 취지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을 통합해 선출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60%가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했고,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은 38%에 그쳤다.

현재 1만명 미만인 선거인단 규모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데에는 62%가 찬성했다. 돈선거·계파 줄세우기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선거인단 확대는 불가피하다는 공감대가 일찌감치 형성됐다. 박 전 대표도 이에 대해서는 찬성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비대위는 현재 유권자 대비 0.5% 수준인 20만명 선으로 선거인단을 확대하기로 가닥을 잡았다. 책임당원에게 어느 정도로 우선권을 주느냐가 쟁점이다. 책임당원은 5월 중순 현재 13만 604명이다. 당초 이들을 전원 선거인단에 포함시키는 방안도 거론됐으나 그럴 경우 시·도별 및 당협별로 인원수가 최대 30배까지 차이가 나는 등 균형을 잃게 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6개월 이상 꾸준히 당비를 내는 책임당원이 수도권과 영남에 주로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지역별 편차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구성하면 당협에서 선거인단을 추천하게 된다. 책임당원→당비납부당원→일반당원 순이 추천 기준이지만 당협위원장의 투표 성향에 따라 줄 세우기도 가능하다는 우려도 있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2011-05-26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