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訪中> 당국자들 ‘동선’에 촉각

<김정일訪中> 당국자들 ‘동선’에 촉각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1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이징行 가능성..’창ㆍ지ㆍ투’ 머물 수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21일 이틀째로 접어들면서 정부 당국자들은 김 위원장의 동선에 예민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 위원장 일행은 이날 오전 창춘(長春) 이치(一汽) 자동차를 둘러본 뒤 숙소인 난후(南湖)호텔에서 잠시 머물다 창춘역으로 이동, 전용 특별열차를 타고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대목은 김 위원장의 다음 행선지다. 이는 북ㆍ중 정상회담 개최장소와 직결된다. 김 위원장이 동북3성 지역에 그대로 머무느냐, 아니면 베이징(北京)으로 향하느냐에 따라 방중의 의미와 성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선 당국자들 사이에서는 베이징행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움직임이 창춘에서부터 잘 잡히지 않는다”면서 “열차가 하얼빈(哈爾濱)에 서지 않고 계속해서 달렸다면 선양(瀋陽)을 거쳐 베이징까지 갈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만날 수 있고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담 참석차 일본을 방문중인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귀국한 뒤 그와 면담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수행원이 70명에 이르는 대규모라는 점도 베이징행 가능성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만일 김 위원장이 베이징행을 택한다면 이는 북.중 정상간의 협의가 단순히 경제협력 차원을 넘어 정무ㆍ안보적 현안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볼 수 있다는게 정부 당국자들의 시각이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동북 3성의 핵심인 ‘창ㆍ지ㆍ투(長吉圖.창춘ㆍ지린ㆍ투먼)’ 지역에 계속 머물 가능성도 있다는게 당국자들의 관측이다. 지난해 8월 방중 때 김 위원장은 창춘의 난후호텔에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이는 이번 방중이 ‘창ㆍ지ㆍ투’ 집중개발과 나선지역 물자수송로 확보를 중심으로 하는 북ㆍ중 경제협력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시사한다는게 당국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지금까지 김 위원장의 움직임으로 볼 때 앞으로 있을 북ㆍ중 정상간 회동에서 경제협력이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해 보인다.

한 당국자는 “지난해 방중했을 때처럼 이번에도 동북 3성 지역에서 행선지를 시작한 것을 보면 경제 쪽에 중심을 둔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도부와의 만남은 중국측 일정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주요 의제는 경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당국자는 “북한 입장에서는 경제협력뿐 아니라 후계구도 안착, 중국과 유대관계 강화 등 여러가지 의미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그렇게 까지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 “중국이 변수다. 중국이 계속해서 북한 편들기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