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박근혜가 5·16 군사작전에 참여했나?”

친박 “박근혜가 5·16 군사작전에 참여했나?”

입력 2011-05-15 00:00
업데이트 2011-05-15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16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50주년을 맞은 50주년을 맞은 5·16을 놓고 ‘쿠데타’냐 ‘혁명’이냐는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빛과 그림자를 고스란히 넘겨 받은 유력한 대선 주자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관심은 두 가지다. 박 전 대표가 5·16을 어떻게 보느냐와 박정희 정권의 유산이 그의 대선 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박 전 대표는 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검증 청문회에서 “5·16은 구국의 혁명”이라고 밝혔고, 이 소신에는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계의 핵심 중진 의원은 15일 “박 전 대표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 세종대왕에게 정몽주가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것과 같다. 정몽주가 아무리 훌륭해도 아버지(태종)가 제거한 인물을 훌륭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서병수 전 최고위원은 “5·16 혁명으로 근대화가 이뤄진 것은 분명하다. 앞으로도 당당한 입장을 견지하는 게 낫다.”면서 “이 문제가 박 전 대표에게 걸림돌이 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도 “박 전 대표가 입장을 바꾸는 일은 없다.”면서 “‘구국혁명’이 논란이 되고 있지만, 박 전 대표는 5·16 이후의 대한민국 발전상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구국의 혁명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 친박계 의원들도 있지만 이들 역시 5·16과 박근혜를 묶어서 보는 것에는 반대한다. 한 의원은 “구국의 혁명이라는 평가에 동의할 수 없다. 역사의 비극으로 안타까운 일이다.”면서 “다만 5·16을 박 전 대표와 연결짓는 것은 연좌제를 하겠다는 것이다. 그가 군사 작전에 동참한 것도 아닌데 딸이라는 이유로 문제삼는 사람들이 오히려 문제”라고 주장했다.

박 전 대표는 앞으로 치러질 당내 경선과 대선에서 경쟁자들로부터 아버지의 ‘그늘’에 대해 공격을 받을 전망이다. 이재오 특임장관은 2004년 ‘독재자의 딸’이라고 비판한 적이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런 비판이 지지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박정희 시대의 공과가 이미 박 전 대표의 지지율에 다 반영돼 있다.”면서 “경제가 어려워질수록 박정희 리더십에 대한 향수가 깊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정치평론가인 고성국 박사도 “5·16을 직접 경험한 세대가 별로 없다.”면서 “‘독재자의 딸’이 틀린 말이 아니듯 ‘경제발전 주역의 딸’ 역시 틀린 말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박 전 대표는 아버지의 독재가 불가피했다고 설득하면서 그 과정에 희생당한 사람들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희웅 사회여론조사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최근 진보진영이 강화됐어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역대 대통령 중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어 ‘쿠데타 프레임’이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박 전 대표가 산업화 세대와 민주화 세대를 아우르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2004년 8월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아버지 시절 여러 가지로 피해를 입으시고 고생한 데 대해 딸로서 사과말씀 드린다.”고 했지만, 다른 피해자들에게 사과를 한 적은 없다.

이창구·장세훈·허백윤기자 window2@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