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유럽행… 재보선서 비켜선 ‘박근혜 특사’

오늘 유럽행… 재보선서 비켜선 ‘박근혜 특사’

입력 2011-04-28 00:00
업데이트 2011-04-28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28일 출국을 누구보다 축하하는 이들은 여권 주류다. 재·보선 이후 정치 지형의 격변이 예상되는 가운데 당내 비주류의 좌장이 정치 현장을 떠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상당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나 박 전 대표의 출국이 대통령 특사 형식인 점에 안도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친박 의원들은 아무래도 정치 현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기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친이 주류들은 내부 관리에 더욱 주력할 여력이 생긴다.

친이 주류는 당장 다음 달 초 열리는 원내대표 선거가 최대 관심사다. 안경률, 이병석 의원 등 두 친이 후보의 출마 의지가 강력하기 때문이다. 단일화 얘기가 없지 않지만, 둘 다 출마하면 선거전은 이재오 장관과 이상득 의원을 배경으로 한 ‘대리전’ 양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재·보선 이후 당 지도부가 어찌될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원내대표 자리를 교두보로 확보해야 하는 양쪽의 신경전이 팽팽하다.

이 때문에 친박계가 황우여, 이주영 의원 등 제3의 후보 중 하나를 지지할 것인지, 아니면 친이계 후보 가운데 어느 한명을 지원해줄지도 관심사다. 친이계가 선거를 앞두고 잇단 회동을 갖고 이상득-이재오 만남이 성사된 것은 이런 복잡한 당내 역학관계를 앞서 반영한 것이다.

박 전 대표의 출국은 이 모든 일을 뒤로하는 것이다. 청와대와 여권 주류가 박 전 대표를 특사로 선택한 데에는 외교적 측면 외에도 이런 점들을 고려했다는 게 중평이다. 친이-친박이 협조·협력하는 모습이 재·보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을 했을 수 있다. 당 지도부는 재·보선에서 방관자쯤으로 물러나 있는 친박 열성 지지자들을 선거판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해 왔다.

한편으로 특사 출국은 정치 현안에 ‘불개입’을 최대한 유지하고자 하는 박 전 대표의 이해관계와도 맞아떨어진다. 당과 정치권은 이래저래 요동칠 수밖에 없고, 언론과 주변인사들이 자신의 입만 바라보게 될 상황을 사전에 막는 효과가 있다.

이지운기자 jj@seoul.co.kr
2011-04-28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