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신정아보다 정운찬 말 믿는다”

이재오 “신정아보다 정운찬 말 믿는다”

입력 2011-03-29 00:00
업데이트 2011-03-29 1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당乙 보궐선거, 공천만 하면 이기는 건 아냐”...”여권 내 권력암투 없다””2007년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내가 직접 정운찬 MB캠프 영입 타진”

이재오 특임장관은 28일(현지시간) 한나라당의 경기 성남 분당을 국회의원 보궐선거 후보 공천 논란과 관련, “분당이 아무리 한나라당 우세지역이라도 경기도적 정서도 있다”면서 “공천만 하면 한나라당이 이긴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미국 워싱턴을 방문 중인 이 장관은 이날 저녁 한국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민주당이 손학규 대표 외에 후보가 아예 거론이 안 되는 상황에서 한나라당이 아무리 우세지역이라도 신경을 안 쓸 수 없지 않느냐”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장관은 손 대표가 출마할 경우 한나라당의 대항마가 누구여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내가 관계할 일이 아니다”면서도 “분당 사람들의 자존심에 좀 합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분당 공천과 관련해 일각에서 여권 내 ‘권력암투설’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 “보선 자리 한두 개를 갖고 무슨 권력암투가 있겠느냐”며 일축했다.

그는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과 손 대표가 분당에서 맞붙으면 누가 이기느냐’는 질문에는 “내한테 물어보면 답이 뻔하다”고 웃어넘겼고, ‘강재섭 전 대표는 안되느냐’는 질문에는 “그 말은 잘못하면 내가 외국 나가서까지 쓸데없는 소리를 한다는 얘기를 들을 것”이라면서 “누가 되고 안되고의 차원을 떠나서 민주당 공천에 따라 거기에 대항해서 이길 사람을 내는 것이니까 시간을 끄는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정운찬 위원장의 최근 소위 ‘신정아 파문’과 관련된 질문에 “신정아 씨가 다른 사람들은 다 이니셜을 쓰고 정 전 총장만 실명을 썼다”면서 “본인(정 위원장)이 ‘교수나 대학의 명예를 손상한 일을 한 적이 없다’고 했으니, 그래도 대학 총장의 말을 믿어야죠”라고 정 위원장에 대한 신뢰를 드러냈다.

이어 그는 “신정아 씨의 말과 정 전 총리의 말 두 가지를 두고 ‘누구 말을 믿느냐’고 하면 ‘정 전 총리를 믿는다’고 말해야지”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정 위원장의 제안 이후 논란이 됐던 ‘초과이익 공유제’와 관련, “취지 자체가 나쁠 게 없다”면서 “별로 시빗거리도 아닌데 교과서에 있니 없니 해서 문제가 된 것”이라고 논란을 일축했다.

그는 이날 2007년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 후보 경선 당시 자신이 직접 나서 당시 이명박 경선 후보 캠프로의 ‘정운찬 영입’을 타진했던 사실도 공개했다.

그는 “지난 대선을 앞두고 한나라당의 후보 경선이 한창 치열할 때 경선캠프에 모시려고 접촉을 했었다”면서 “당시 본인이 정치를 안 하겠다고 했고, 그래서 ‘만약 우리가 이기고 정부가 출범하면 협조해 주겠느냐’고 물었다. 그래서 ‘그건 그 때가서 보자’ 정도에서 끝난 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인재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풍토가 조금 있어야 한다”고 거듭 정 위원장에 대한 인간적 신뢰를 드러냈다.

이 밖에 그는 최근 한 조사에서 내년 총선에 한나라당이 과반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온 것과 관련, “막상 선거에 들어가면 선거분위기가 있어서 판세는 다르다”면서 “한나라당이 자만하지 말라는 경고”라고 해석했다.

그는 또 특임장관실의 국정운영 조사 결과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45∼50%대에 계속 머물고 있다고 전하면서 대형 측근 비리나 친인척이 개입된 돌발사건이 없는 한 레임덕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대통령의 측근이나 친인척이 비리에 개입될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대통령 주변에 측근이라고 등에 업고 해먹을 만한 측근이 없다. 내가 측근이라면 측근인데, 내가 대통령을 등에 업고 해먹을만한 것과는 애초부터 거리가 먼 사람이고, 주변에 권력 팔아서 해먹고 할 아예 원초적으로 자원이 없으며, 친인척들도 다 먹고 살만한데 굳이 대통령 팔아서 더 먹고 살아서 뭣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아울러 개헌문제와 관련, “노무현 전 대통령 때 만들어 둔 개헌시안도 다 남아있더라”면서 개헌에 관한 여야 입장만 결정되면 조율은 시간문제라는 입장도 밝혔다.

그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도 4년 중임 정.부통령제를 빨리 도입하는 게 좋다는 소신을 언론인터뷰에서 분명히 밝혔다면서 올 한해가 개헌의 적기라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최근 대선 후보군에 포함돼 지지율이 조사되는 것과 관련, “아예 없는 걸로 하면 된다”면서 자신에 대한 지지율은 “지지율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간담회에서 김문수 경기지사의 대권도전 가능성 등에 대한 질문에 “내 앞가림도 못하는데...”라면서 답변을 피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