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野, 해도 너무한다” 격앙

靑 “野, 해도 너무한다” 격앙

입력 2010-11-05 00:00
업데이트 2010-11-05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포폰 아닌 차명폰” 해명

청와대는 4일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의혹 조사 과정에서 드러난 ‘대포폰 의혹’을 고리로 민주당이 연일 공세를 강화하자 “해도 너무 한다.”며 불쾌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사법부의 판단을 기다릴 뿐”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야당의 공세가 도를 넘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특히 이날 민주당 전현희 원내대변인이 공식브리핑에서 청와대 관계자의 대포폰 사용 의혹을 ‘한국판 워터게이트’로 비유하면서 국정조사 실시와 특검 도입까지 거론하고 나선 것은 정치 도의상 참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준비하느라 정치공세에 일일이 대응할 수도 없는 처지다.

청와대가 곤혹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청와대 직원인 고용노사비서관실의 최모 행정관이 민간인을 불법사찰한 국무총리실 산하 공직윤리지원관실의 직원인 장모 주무관에게 다른 사람 이름의 휴대전화를 제공한 것은 ‘팩트’(fact)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최 행정관은 고용노동부 출신으로 민간인 사찰에 연루돼 물러난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 장 주무관과 동향(포항)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최 행정관이 검찰 조사를 받았다는 보고는 받았다.”면서 “감청 등을 우려해 ‘대포폰’이 아닌 ‘차명폰’을 최 행정관이 평소 친한 사이였던 윤리지원관실의 장 주무관에게 빌려줬고, 하루만 사용하고 반납한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남의 이름을 도용해서 쓴 ‘대포폰’이 아니라 최 행정관이 KT대리점에 부탁해 직원 가족 명의의 ‘차명폰’을 만들어 제공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민정수석실도 아닌 고용노사비서관실 직원이 구태여 남의 이름으로 휴대전화를 개통하면서까지 민간인 사찰을 했던 윤리지원관실 직원에게 건네준 이유는 무엇인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0-11-05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