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권주자 인터뷰] (8·끝) 조배숙 의원

[민주당 당권주자 인터뷰] (8·끝) 조배숙 의원

입력 2010-09-29 00:00
업데이트 2010-09-29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액세서리 거부… 지도부 자력 입성”

민주당 조배숙 의원은 사법시험에서 5번이나 고배를 마신 끝에 1982년 우리나라 1호 여검사가 됐다. 그의 검사실을 찾는 고소인들이 “검사님은 어디가셨느냐.”고 묻기 일쑤였고, 배치되는 검찰청마다 여성 화장실이 새로 만들어 졌다. 1991년에는 판사로 전관해 서울고법 판사를 지냈다. 10·3 전당대회에 도전한 8명의 후보 가운데 유일한 여성 후보인 조 의원은 28일 “반드시 자력으로 지도부에 입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한 조배숙 의원이 2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당 지도부 자력 입성을 자신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한 조배숙 의원이 2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당 지도부 자력 입성을 자신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여성 배려 규정(6인의 선출직 지도부에 여성 후보가 포함되지 못하면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구제)으로 최고위원을 확정했는데, 열심히 선거운동을 할 필요가 있나.

-대의원들도 ‘자동진출 아니냐.’고 묻는다. 표가 도망치고 있는 셈인데, 꼭 자력으로 6위 안에 들어야 한다고 계속 설득하고 있다. 이는 나 개인의 문제나 민주당만의 문제가 아니다. 수많은 여성들이 지켜보고 있다. 지구의 반이 여성이고, 유권자의 반이 여성이다. 내가 전당대회의 액세서리에 그쳐서는 안 되는 이유다. 내가 선출직 최고위원이 되면 여성 지명직 1명까지 포함해 지도부에 여성 2명이 들어가는 신기원이 열린다.

→예비선거(컷오프)에서 여성 대선후보급으로 불리던 추미애 의원을 눌렀는데, 원동력은 무엇인가.

-출마를 결심했을 당시에는 경선 규칙도, 여성 배려 규정도 정해지지 않았었다. 집단지도체제가 도입되면서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을 때보다 여성 진출 가능성이 더 낮아졌다. 다른 여성 의원들은 아무도 용기 있게 나서지 않았지만, 나는 착실하게 준비했다. 컷오프 며칠 앞두고 출마를 선언한 추 의원보다 나의 도전정신과 진정성이 더 통했다고 본다.

→화려한 경력에 비해 인지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법조인 출신은 나서기를 꺼린다. 수줍음을 많이 타는 성격이기도 하다. 묵묵하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일을 했다고 자부한다.

→정치인 ‘조배숙’의 강점은 무엇인가.

-나를 만나 본 이들은 ‘편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런 사람도 정치를 할 수 있구나.’라는 말도 많이 듣는다. 진정성과 순수함이 강점이다.

→법조계에 남았다면 자신이 어디쯤 와 있을 것으로 보나.

-사법시험 동기인 김영란 전 대법관 정도는 되지 않았을까. 그러나 정치 입문을 후회한 적은 없다. 판사는 결국 원고와 피고에게만 영향을 미치지만 국회의원의 입법 활동은 수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

→비주류 결사체인 쇄신연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데, 성과에 만족하나.

-주류의 폐쇄적인 당 운영에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못할 때 쇄신연대가 나섰다. 당이 정반합의 균형을 이루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쇄신연대는 왜 유독 정세균 후보와 각을 세우나.

-정 후보는 개인적으로는 인품이 훌륭하다. 그러나 누구에게나 공과가 있고,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건전한 비판이 따른다. 당직을 특정 세력과 함께 독점했고, 당 운영도 투명하지 않았다. 집권을 위해서라도 당내 민주화가 우선돼야 한다.

→지도부에 들어가면 무엇을 하고 싶은가.

-당의 정책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복지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기 때문에 생활밀착형 진보정책을 주도하고 싶다. 만년 야당이었던 일본 민주당이 아동수당으로 집권했고, 미국 민주당도 건강보험 개혁 공약으로 집권했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2010-09-29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