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진영 잇단 ‘탈 친박’ 발언 왜?

김무성·진영 잇단 ‘탈 친박’ 발언 왜?

입력 2010-08-12 00:00
업데이트 2010-08-12 16: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 친박(친박근혜)계 주요 인사들이 최근 잇따라 탈박(脫朴.친박에서 벗어남)을 ‘선언’하면서 그 정치적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역임한 진영 의원은 12일 한 인터뷰에서 “이제 친박이란 울타리에서 자유로워지고 싶다”며 “앞으로 친박이 아닌 중립으로 불러달라”고 했다.

 친박계 좌장이었지만 올 초 세종시 논란 과정에서 박 전 대표와 관계가 틀어진 김무성 원내대표도 최근 인터뷰에서 “박 전 대표 결점을 고쳐야 한다고 충정으로 말했는데,박 전 대표를 군주처럼 모시려는 못난 사람들은 ‘주군한테 건방지게...’라는 식의 반응”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친박계의 중진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의 ‘탈박’ 언급은 박 전 대표로서는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은 “노코멘트”라며 말을 아꼈지만,한 친박의원은 “사방에서 박 전 대표를 힘들게 하는 이 시점에 이분들이 나서 등에 칼을 꽂는 듯한 발언을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탈박’ 발언의 배경을 놓고 당 일각에선 친박내 ‘구주류’와 ‘신주류’간 갈등이 자리한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김 원내대표는 2007년 경선 당시 선대위 조직총괄본부장을 맡은 핵심인사였고,진 의원은 캠프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외곽에서 활동하면서 박 전 대표의 신임을 얻었다.

 반면 경선 패배 이후 박 전 대표가 ‘조용한 행보’에 돌입한 이후에는 비서실장 역할을 맡은 유정복 의원과 대변인격인 이정현 의원이 최측근으로 부상했다는 게 일반적 평가다.

 이 과정에서 김 원내대표와 진 의원 등 ‘구주류’가 소외감을 느낀 것 아니냐는 것이다.

 경선 당시 핵심적 역할을 했던 대구.경북지역 모 의원이 최근 박 전 대표와 거리를 두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데도 이런 점이 반영됐을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이에 대해 친이(친이명박)계 한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김무성,진영 의원의 ‘탈박’ 발언은 친박 진영의 폐쇄성에 대한 문제제기로 본다”며 “친박계가 스스로 초래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친박 내부에선 김 원내대표의 경우 ‘자기 정치’를 한다는 차원에서 ‘친박 때리기’를 한 것이고,진 의원은 정치입문 당시부터 보여온 굴곡의 정치 연장선상에서 봐야 한다는 비판론도 제기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