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룸살롱 질문’ WSJ기자, 대변인에게 욕설도… 

‘룸살롱 질문’ WSJ기자, 대변인에게 욕설도… 

입력 2010-03-09 00:00
업데이트 2010-03-09 1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획재정부는 윤증현 장관의 외신 기자간담회에서 부적절한 질문에다 욕설까지 퍼부은 월스트리트저널(WSJ) 기자에 대해 공보서비스를 중단하기로 했다.

 그러나 기존처럼 외신에 대한 정기적인 간담회 등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한국의 경제 및 문화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김영민 재정부 외신대변인은 9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재정부 장관이 어제 외신기자간담회에서 WSJ 기자로부터 비상식적인 질문으로 곤란함을 겪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신 간담회를 지속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내신 기자라면 일국의 장관에게 ‘룸살롱’,‘호스트바’,‘접대’ 같은 질문을 했겠느냐”면서 “해당 외신기자가 무지했다면 향후 외신과 접촉을 강화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지만 악의가 있었다면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에반 람스타드 WSJ 기자는 당시 외신 간담회에서 윤증현 장관에게 한국 여성의 직장 참여가 저조한 것이 남성의 룸살롱 문화 때문이며 재정부 직원들이 관계기관으로부터 룸살롱 접대를 받는다는 전제를 깔고 견해를 물었다.

 이에 윤 장관은 람스타드 기자의 질문에 차분한 어조로 잘못된 정보라고 답하면서 마무리됐지만 외신간담회가 끝난 뒤 재정부 대변인이 “장관에게 하기에는 부적절한 질문이었다”고 지적하자 람스타드 기자는 대변인에게 육두문자를 쏟아내며 욕설을 퍼부었다.

 람스타드 기자는 지난해 8월에도 욕설을 했다가 재정부 외신대변인에 사과 편지를 썼던 경력이 있는 기자로 재정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또다시 정부 대변인에게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퍼부어 국격을 심각히 훼손함에 따라 관련 조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재정부는 람스타드 기자의 욕설과 장관에 대한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항의 서한을 외신기자클럽과 WSJ 본사에 보낼 예정이며 앞으로 람스타드 기자에게 보도자료 등 공보서비스 제공을 중단하기로 했다.람스타드 기자는 9일 재정부에 간략한 사과 메일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민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외신에 대해서는 내신에 버금가는 취재 지원을 해주도록 노력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예의에 벗어나고 적절하지 않은 행동을 하는 외신 기자에게까지 그런 취재 서비스를 해줄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에 대해 좋게 쓰거나 나쁘게 쓰는 게 문제가 아니라 상식적인 범위를 벗어난 행동을 하면 안된다”면서 “정부 대변인에게 욕설을 하는 외국 기자는 상대할 수 없으며 이는 정부와 나라의 체면 문제”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WSJ가 아니라 기자로서 최소한의 기본을 지키지 않은 람스타드 기자에게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최영재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한국 언론의 해외 특파원이 미국이나 영국 등 다른 나라의 장관이나 정부 대변인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욕설을 하면 안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외국 언론의 서울 특파원도 취재 과정에서 기본 예절을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기자는 특히 언어를 도구로 정보와 가치를 전달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서 “그런 기자가 외국의 고위 공직자에게 언어 폭력을 행사한 것은 반윤리적인 일”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