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톡톡 다시 읽기] “그대에게 좋다고 모두에게 좋을까”

[고전 톡톡 다시 읽기] “그대에게 좋다고 모두에게 좋을까”

입력 2010-05-17 00:00
업데이트 2010-05-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혼돈과 바닷새의 죽음

‘장자’에 나오는 가장 어이없는 죽음은 혼돈과 바닷새의 죽음이다.

이미지 확대
남계우의 호접도
남계우의 호접도
“남해의 임금을 숙이라 하고 북해의 임금을 홀이라 하며, 중앙의 임금을 혼돈이라 한다. 숙과 홀이 혼돈의 땅에서 만났다. 혼돈이 매우 융숭하게 그들을 대접했다. 숙과 홀은 혼돈의 은혜에 보답할 의논을 했다. 사람은 누구나 일곱 구멍이 있어서 그것으로 보고 듣고 먹고 숨쉬는데 혼돈에게만 없다. 구멍을 뚫어 주자. 날마다 한 구멍씩 뚫었는데, 7일이 지나자 혼돈은 죽고 말았다.”

“옛날 바닷새가 노나라 서울 밖에 날아와 앉았다. 노후가 이 새를 친히 종묘 안으로 데리고 와 술을 권하고, 구소의 음악을 연주해주고, 소, 돼지, 양을 잡아 대접했다. 그러나 새는 어리둥절해하고 슬퍼할 뿐, 고기 한 점 먹지 않고 술도 한 잔 마시지 않은 채 사흘 만에 죽어버리고 말았다.”

혼돈과 바닷새는 더할 나위 없이 융숭한 대접을 받고는 죽었다. 구멍을 뚫으면 혼돈은 생명줄인 혼돈스러움을 잃는다. 바닷새는 바다에서 물고기를 먹고 살아야지 궁전에서 사람처럼 살면 바닷새다움을 잃는다. 이것이야말로 의도하지 않은 동일성의 폭력이다. 이 세계의 주인이라 자처하는 자들, 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하고 완성된 자라고 생각하는 자들이 범하는 실수다.

나에게 좋음이 저들에게 좋음일 수 없다. 나에겐 삶이지만 저들에겐 죽음일 수 있다. 다른 이의 생을 이해하지 않은 채 행해지는 선의는 타자에게 작동하는 순간, 폭력이 된다. 의도하지 않은 폭력, 의도하지 않은 살해. 자신이 내린 혜택이 타자에겐 고통이 될 줄 아예 상상조차 하지 못하는 존재들의 무심함과 무명(無明)이 이보다 더 잘 그려지긴 어렵다.

2010-05-17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