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시티노믹스 시대] “신도시 설계부터 저탄소 시스템 도입”

[뉴 시티노믹스 시대] “신도시 설계부터 저탄소 시스템 도입”

입력 2010-11-29 00:00
업데이트 2010-11-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재 유럽의 도시들은 저마다 어떻게 하면 탄소를 줄일 수 있을까에 대해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실제로 건설을 시작한 상태입니다. 환경도시는 이미 도시계획의 유행이 아니라, 당연히 가야 하는 당위성을 갖춘 목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영국 스트래스클라이드대 책임연구원인 김재민 박사는 10여명의 유럽내 한인 전문가들과 함께 3년째 ‘유럽 저탄소 정책기술 동향 보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주제는 친환경 도시다.

영국, 프랑스, 독일 등지의 한인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연구하고 있는 것은 ‘기술’이 아닌 ‘도시 전체’다. 개발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생태도시에서 산업이 어떤 방향을 갖춰야 하는가부터 유럽의 유기성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과 적용, 에코타운 에너지 저장 기술, 생태도시 및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친환경적 도시 개발 계획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등이 총망라돼 있다. 김 박사는 “브라질 쿠리치바, 프라이부르크 등 세계적인 환경도시는 단순히 환경적인 요소를 첨부하는 방식이 아니라, 주변 환경과 어우러진 도시의 환경 최적화에 초점에 맞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 프로젝트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의 신도시 개발 또는 뉴타운을 개발할 때 저탄소 친환경 시스템을 설계 단계부터 도입하는 것이다.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관계자는 “궁극적으로 이 같은 프로젝트의 결과물과 전 세계 동향을 모아 녹색기술정보포털을 만들어낼 것”이라며 “현재 기후변화 예측, 태양전지, 핵융합로, 친환경 식물, 연료전지 등 27개 과제에 걸쳐 108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1-29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