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투명 플렉시블 OLED 기반기술 확보

[4차 산업혁명]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투명 플렉시블 OLED 기반기술 확보

입력 2017-07-17 22:24
업데이트 2017-07-17 2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은 2017년 국가 연구개발(R&D) 사업비 중 8%에 해당하는 정부지원금을 바탕으로 R&D 과제를 기획, 지원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KEIT가 대면적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 사진은 KEIT 전경.
KEIT가 대면적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했다. 사진은 KEIT 전경.
지원 분야는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 △미래성장동력사업 △특수목적기술개발사업으로 나뉜다.

KEIT가 지원한 R&D 과제는 사업화에도 성공해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2014년 12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사용성 검증이 반영된 지체장애인의 생활 보조기구 제품화 개발’ 과제를 주관해 기존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유연한 착용형 손기능 보조기구를 개발했다.

엠도흐멘코리아는 2015년 9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차세대 고에너지 흡수성 UV흡수제 개발’ 과제를 통해 세계 최초 고품질 4세대 UV흡수제 개발 및 양산화에 성공했다.

또한 최근 이룬 성과로는 LG디스플레이의 ‘77인치 투명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있다. 이 개발은 LG디스플레이가 주관하고 산학연 43개 기관이 참여해 2012년 8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진행됐다. 더불어 대면적 투명 및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반 기술도 확보했다.

KEIT는 연구자가 연구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연구자가 더욱 창의적으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자유공모 형태의 과제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연구자 이력관리 시스템을 마련해 우수 연구자의 역량에 따라 과제가 선정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KEIT 측은 “2016년 실시한 부패방지 시책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청렴에도 앞장서고 있다”며 “향후에도 공정한 R&D 기획과 이를 통한 다양한 성과 창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태곤 객원기자
2017-07-18 5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