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의 첨병은 기업이다] 한국석유공사

[창조경제의 첨병은 기업이다] 한국석유공사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래성장동력 셰일가스 사업 박차

한국석유공사는 미래 성장동력사업 중 하나로 셰일가스 개발을 꼽는다. 석유공사는 미국의 대표적 독립계 석유 회사인 ‘애너다코’ 등과 협력해 미국 텍사스 이글포드 셰일층 현장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으로도 비(非)전통 분야의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셰일가스 개발 사업에 추가로 뛰어들 예정이다.

한국석유공사가 셰일가스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이글포드 셰일가스 시추 현장에서 현지 엔지니어가 작업 도면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제공
한국석유공사가 셰일가스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이글포드 셰일가스 시추 현장에서 현지 엔지니어가 작업 도면을 검토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제공
석유공사는 2011년 3월 애너다코와 조인트벤처를 구성해 지분 23.67%를 인수했다. 셰일가스·오일 생산광구 규모는 매장량 7억 1700만 배럴, 1일 생산 15만 4000배럴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최초의 비전통 생산 유전 지분 인수”라며 “셰일오일 분야의 선진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북미 지역 비전통 석유 개발 사업 추가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현재 시추·생산 분야 등에 6명이 파견 중이다.

또 지난 3월 이라크 북부 쿠르드 지역 하울러 광구에 대한 1차 탐사에서 원유를 발견,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기 시작했다. 탐사 시작 6년 만이다. 시추 결과 저류층 세 곳에서 하루 1만 배럴 이상 원유 산출에 성공했다. 쿠르드 지역은 원유 약 450억 배럴이 매장된 세계적으로 탐사 유망 지역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하울러 탐사 광구의 성공적 시추 결과를 발판으로 쿠르드 사업뿐 아니라 카자흐스탄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에서도 ‘대규모 신규 유전’을 발견하는 데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7-18 4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