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자발적 창조경제는 기업 생존의 문제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자발적 창조경제는 기업 생존의 문제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조경제’를 두고 이런저런 논란도, 반감도 많다. 심지어 일부에선 현 정부가 외치는 창조경제를 ‘벌거벗은 임금님’이라고 말한다. 실은 아무것도 없는데 권력이 무서워 없는 것을 없다고 말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비아냥이라고 치부할 수도 없다. 창조경제의 개념이 현재진행형으로 바뀌고 있고, 국민은 물론 전문가까지 혼란스럽게 만드는 마당이니 ‘삐딱한 풍자’가 ‘애매한 정의’보다 차지게 와 닿는 게 사실이다.

이미지 확대
하지만 창조경제를 외치는 주어를 정부에서 기업으로 바뀌놓으면, 앞선 반감은 크게 누그러진다. 창조적으로 변하지 못하는 기업은 채 10년을 넘기지 못하는 것이 글로벌 시장의 현실이다. 기업은 말 그대로 살아남고자 새 시장을 창조하고, 기술을 융합하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를 경영해야 한다. 누가 시켜서가 아닌, 생존을 위한 민간 주도형 자발적 창조경제다.

실제로 끝내 변하지 않은 기업의 참담한 결과는 모토로라, 코닥, 노키아, 소니 등 이른바 초우량 기업들의 도태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불과 6년 전인 2007년 세계 1위 업체이던 노키아의 최고경영자(CEO) 올리 페카 칼라스부오는 그해 처음 세상에 등장한 애플 아이폰을 비웃었다. 스마트폰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에 그는 “아이폰은 시장에서 먹히지 않을 조크(joke) 같은 제품이다. 우리가 정한 것이 표준이다”라고 답했다. 방심의 대가는 참담했다.

그만큼 요즘 글로벌 기업에 창조경제는 생존의 문제다. 이 때문에 창조경제를 찬성하는 사람도, 반대하는 사람도 기업이 창조경제의 첨병에 있다는 점만은 부인하지 않는다.

이미지 확대
사실 창조경제란 용어는 현 정부가 세계 최초로 꺼내든 용어가 아니다. 1990년 일본 노무라 연구소에선 ‘창조사회’란 보고서를 냈다. 1997년 제기된 영국의 창조경제 논의는 2001년 존 호킨스의 창조경제론으로 이어졌다. 이미 각 기업들은 자기만의 창조경영과 창조경제를 실천 중이다. 이론을 공부해 실천 중이라기보다는 그저 몸으로 느끼는 위기감을 극복할 무언가를 찾는 과정이었다는 표현이 적절하리라고 본다.

한 예로 삼성은 2006년 이미 창조경영을 새 경영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당시 “삼성만의 독자성을 실현해 달라”고 창조경영을 당부했고, 그룹 경영진은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미래사업을 개척하는 경영”이라고 개념을 정립해 새로운 시장과 제품 창조에 노력해 왔다.

다른 기업들도 새로운 시장 개척, 산학 연계, 소통 강화, 신기술 개발, 연구개발 활성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창조경제의 정답을 찾아가고 있다. 상생도 역시 마찬가지다. 기업의 목표는 이윤 추구에 있다지만 자칫 대기업이 단기적인 이윤에만 매달린다면 시장이 고사해 지속 가능한 이윤 추구가 불가능해진다. 기업도 이런 점을 누구보다도 잘 안다.

서울신문은 이른바 민간 중심의 창조경제 현장을 짚어 보기로 했다. 각 산업 분야의 대표기업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성장 전략을 세우고, 추진 중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창조경제 현주소를 들여다보자는 취지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07-18 3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