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인맥 대해부 (4부)뜨고 지는 기업&기업인 <13>하이트진로그룹] 차남 재홍씨, 형보다 앞서 3년 전부터 경영수업

[재계 인맥 대해부 (4부)뜨고 지는 기업&기업인 <13>하이트진로그룹] 차남 재홍씨, 형보다 앞서 3년 전부터 경영수업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5-03 23:44
업데이트 2015-05-03 23: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 회장 사퇴 후 3세 경영체제 급물살

박문덕 회장에게는 미혼인 태영(37), 재홍(33) 두 아들이 있다. 장남 태영씨는 2012년 4월 하이트진로 경영관리실장(상무)으로 본격 데뷔했으나 그간 차남 재홍씨는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이미지 확대
박재홍 상무
박재홍 상무
서울신문 취재 결과 재홍씨는 태영씨보다 앞선 3년 전부터 경영 수업을 받아온 것으로 확인됐다. 2009년 일본에 건너가 어학수업을 받은 재홍씨는 그해 하이트진로그룹의 일본법인인 진로주식회사 상품개발팀 사원으로 입사해 현장 경험을 쌓았다. 현재 상품개발팀 상무로 근무 중이다.

박 회장 본인이 ‘차남 승계’로 지나친 관심을 받았던 만큼 그간 차남의 경영 수업을 숨겨왔던 것으로 보인다. 태영씨는 상무로 경영 수업을 시작했지만 재홍씨는 박 회장의 전철을 밟고 있다. 박 회장도 입사 후 영업 현장에서 잔뼈를 키웠다.

지난해 3월 일신상의 이유로 박 회장이 사퇴하면서 하이트진로의 ‘3세 경영체제 전환’은 급물살을 탔다. 하이트진로 측은 “전문경영인 체제를 강화하고 신사업을 구상하기 위한 퇴진”이라고 못 박았지만 태영씨가 경영 기반을 마련하는 동안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뒤 경영권을 물려받게 될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했다.

태영씨는 입사 8개월째인 2012년 12월 경영전략본부장(전무)으로 승진했다. 당시 태영씨는 승진하면서 “글로벌 사업 강화”를 특히 강조했다. 태영씨는 경문고와 영국 런던 메트로폴리탄대 경영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09년 경영컨설팅업체인 엔플랫폼에 입사해 다양한 인수·합병(M&A) 업무를 해 왔다.

업계 관계자는 “박 전무의 나이가 어리다 보니 경영 일선에 바로 내세우기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서 “2세 승계 때처럼 박 회장이 누구에게 힘을 실어 주느냐가 차후 경영권 승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태영씨와 재홍씨는 맥주 냉각기 제조회사인 서영이앤티를 통해 하이트진로의 지주회사인 하이트진로홀딩스의 지분 27.66%를 보유하고 있다. 태영씨와 재홍씨는 각각 58%, 22%의 서영이앤티 지분을 갖고 있다. 하이트진로홀딩스 최대주주인 박 회장(29.49%)과 서영이앤티의 지분을 합하면 지주사 지분율은 57%에 달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5-04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