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 사랑잇기] 전북 공무원 1만5000명 “어르신 자녀 돼드려요”

[독거노인 사랑잇기] 전북 공무원 1만5000명 “어르신 자녀 돼드려요”

입력 2011-05-05 00:00
업데이트 2011-05-05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령화, 핵가족화 등으로 고립된 혼자 사는 노인들을 보살피기 위해 전북도 공무원들이 팔을 걷어붙였다.

전북도는 도청과 14개 시·군 공무원 1만 5000여명이 독거노인들과 1대1 결연을 맺고 책임 관리를 하는 ‘독거노인·공무원 사랑잇기 사업’을 오는 6월부터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도와 시·군 공무원들은 결연을 맺은 독거노인들을 매주 1~2회 주기적으로 방문하고 수시로 안부전화를 하는 등 자녀나 친인척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외로운 노인들에게 말벗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종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이를 해결해 주는 일도 도맡게 된다.

틈나는 대로 각종 심부름을 해 주고 목욕, 식사제공, 청소 등 노인들의 손과 발이 되는 봉사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자치단체가 예산을 투입하지 않고 공무원들이 나서 주민들의 어려움을 현장에서 직접 살펴보고 봉사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도청과 14개 시·군 공무원노동조합도 이 사업을 추진하는 데 흔쾌히 협조하기로 했다. 도내 공무원들이 혼자 사는 노인들과 사랑잇기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고령화와 핵가족화, 자녀·형제·자매·친인척의 무관심으로 정서적 고립 상태에 놓여 있거나 ‘고독사’하는 독거노인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자치단체에서 독거노인 보호 및 복리증진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이들을 세심하게 보호·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는 점도 공무원들이 나서게 된 주요인이다.

현재 도내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6만여명. 이중 현업에 종사하거나 가족이 돌보고 있는 1만 5000명을 제외한 4만 5000명은 안전확인 등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들이다. 하지만 자치단체의 노인돌봄서비스와 응급안전서비스를 통해 정기적인 생활실태를 점검하는 노인은 2만여명에 지나지 않는다. 나머지 2만 5000여명은 사실상 보호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셈이다.

도는 우선 공무원 1만 5000여명이 독거노인들과 사랑잇기 사업을 펼칠 경우 위급한 노인들이 어느 정도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는 사랑잇기 사업이 성과를 거두게 될 경우 마을 이·통장과 부녀회장 등이 독거노인 1만여명과 1대1 결연을 맺는 사업으로 확대해 보호가 필요한 노인은 모두 수용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공무원과 이·통장, 부녀회장까지 나서 사랑잇기 사업이 정착되면 혼자 사는 노인들의 정서적 고립과 고독사 예방에 상당한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1-05-0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