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1부>] ① ‘창업 DNA’를 심자 - 창업이 가장 쉬운 나라 스웨덴

[한국형 창조경제 성공으로 가는 길<1부>] ① ‘창업 DNA’를 심자 - 창업이 가장 쉬운 나라 스웨덴

입력 2013-07-18 00:00
업데이트 2013-07-18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이 ‘IT 클러스터’ 성공 이끌고… 정부는 규모 안따지고 창업 지원

2011년 스웨덴 명문인 스톡홀름 경제대를 졸업한 뒤 곧바로 사업에 뛰어든 라울 라바로(31)는 현재 네 곳의 작은 회사들을 운영한다.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홍보대행사를 뺀 세 곳(컨설팅 회사 등)은 친구들과 공동 창업했다. 두 곳은 해외에 있다. 라바로는 “네 곳을 동시에 운영하느라 하루 12시간 이상 일하지만 보람이 크다”면서 “스웨덴은 거의 모든 종류의 소규모 창업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나라”라고 설명했다.

스웨덴 창업경제의 상징인 스톡홀름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에서 창업지원 역할을 하는 일렉트룸 건물. 수많은 벤처 기업들이 함께 입주해 있어 이곳이 스웨덴 벤처 창업 생태계의 핵심 공간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스웨덴 창업경제의 상징인 스톡홀름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에서 창업지원 역할을 하는 일렉트룸 건물. 수많은 벤처 기업들이 함께 입주해 있어 이곳이 스웨덴 벤처 창업 생태계의 핵심 공간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4만 8936달러(2011년 기준), 고용률 73%(2012년), 경제성장률 3.71%(2012년) 등 스웨덴의 경제지표들은 ‘창조경제’의 모범답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스웨덴의 이런 성과 뒤에 정부와 기업, 대학들의 끈질긴 벤처 창업 지원 노력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일요일인 지난 14일(현지시간). 수도 스톡홀름 시내에서 전철을 타고 북서쪽으로 20㎞ 정도 나가자 지역의 랜드마크라는 34층짜리 타워가 한눈에 들어왔다.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의 상징 건물인 ‘사이언스 타워’였다. 휴일인데도 사람들로 분주했다. 160여개의 상점과 식당, 10여개의 스크린을 갖춘 영화관과 연극 공연장 등을 마련해 자족기능을 갖춘 덕분이다. 주말만 되면 사람이 모두 빠져나가 유령 도시를 연상케 하는 우리나라 산업 단지들과는 대조적이다.

이미지 확대


스웨덴 창업경제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이은 세계 2위의 정보기술(IT) 단지로 ‘무선 통신기술의 메카’로 불린다. 블루투스 등 신기술도 이곳에서 개발됐다.

이곳의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민간 기업들이 주도해 세운 ‘일렉트룸’(협력지원센터)이 큰 역할을 했다. 아이디어만 좋으면 심사를 거쳐 창업을 위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시스타도 한때 위기를 겪었다. 2001년 당시 IT 경기 침체로 에릭슨이 직원 수를 2만 5000명에서 8000명으로 줄였고 생산공장도 시스타에서 철수시켰다. 이 때문에 세계 언론들은 시스타가 쇠퇴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하지만 시스타는 지금도 건재하다. 시스타를 탄탄히 받치고 있던 벤처 창업 생태계 덕분에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에릭슨의 공백을 메웠기 때문이다. 시스타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한 IBM이 입주를 시작하면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 HP, 애플, 노키아, 오라클 등 글로벌 기업들도 터를 잡고 있다.

스웨덴의 창업 지원 정책은 시스타 사이언스 시티처럼 한 국가의 모든 연구개발 자원을 한곳에 모은 클러스터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특히 시스타는 민간 기업들이 주도해 성공시킨 대표적인 클러스터로 평가된다.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클러스터를 만들어 입주기업을 모집한 뒤 이들을 지원하는 식의 관(官) 주도인 한국에서 반드시 음미해 봐야 할 대목이다.

하지만 스웨덴 창업 정책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스웨덴은 창업을 경제 성장보다는 일자리 제공이라는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에릭슨의 쇠퇴 이후 이를 대체할 질 좋은 일자리가 많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에는 이런 이유도 크다. 일부에선 ‘이스라엘처럼 IT 등 특정 분야에 지원을 몰아주자’는 주장도 내놓는다.

‘아이디어만으로도 창업할 수 있다’는 스웨덴의 창업 정책이 창업자들에게 지나친 도덕적 해이를 야기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실제 창업 의지 없이 그럴듯한 아이디어만으로 창업과 파산을 반복하는 ‘창업꾼’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창업 지원 심사 기간을 늘리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 실효성은 크지 않다.

글 사진 스톡홀름(스웨덴)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07-18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