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위안화의 마술을 환율 시스템을 통해 구현시켜 왔다. 미국의 거센 절상 압력 등 국제 경제변수에 따라 페그(고정)제와 관리변동 환율제를 적절하게 구사하면서 위안화의 가치를 안정시켜 온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혁·개방 이후부터 페그제(1993~2005년 6월)→관리변동환율제(2005년 6월~2008년 7월)→페그제(2008년 7월~2010년 6월)→관리변동환율제(2010년 6월~) 등으로 숨가쁜 시스템 변화를 보여 왔다. 2005년 관리변동환율제 도입은 미국 등 서방국가의 압력이 주된 원인이다. 당시 중국 금융당국은 위안화를 한꺼번에 2.1% 절상시켰고 이후 3년 간 21%를 절상시켰다. 하지만 50% 이상의 위안화 절상을 요구하는 국제 기준과는 거리가 있었다.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그림자가 다가오던 2008년 7월 페그제를 재도입, ‘1달러=6.83위안’으로 환율을 사실상 고정시켰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년 간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이 침체의 늪에 빠져있을 때에도 중국이 가장 빠른 경제회복을 보인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의 지속적인 압력에 직면하자 관리변동환율제로 다시 복귀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함정’이 있다. 중국은 한국처럼 자본·금융시장을 완전하게 개방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손’으로 환율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재 중국의 관리변동환율제는 복수통화바스켓 방식이다. 즉, 달러·유로·엔·원 등 4개 주요 통화를 비롯해 영국 파운드, 러시아 루블, 호주 달러, 캐나다 달러, 싱가포르 달러, 말레이시아 링깃 등의 통화가치를 가중 평균으로 산정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환율 시장에 참가하는 마켓메이커(시장 조성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초로 매일 오전 9시15분(현지시간) 그날의 위안화 기준 환율을 고시한다. 현재 달러 대비 하루 상하 0.5%로 변동폭이 제한돼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국별 통화의 가중치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다. 통화바스켓에 들어가는 주요 상대 통화국의 무역비중에 따라 환율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국이 자의적으로 산정 공식을 바꿀 수 있어 환율의 ‘블랙박스’로 불리기도 한다.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위안화의 마술은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중국의 환율 시스템 때문에 가능하다고 비난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구체적으로 개혁·개방 이후부터 페그제(1993~2005년 6월)→관리변동환율제(2005년 6월~2008년 7월)→페그제(2008년 7월~2010년 6월)→관리변동환율제(2010년 6월~) 등으로 숨가쁜 시스템 변화를 보여 왔다. 2005년 관리변동환율제 도입은 미국 등 서방국가의 압력이 주된 원인이다. 당시 중국 금융당국은 위안화를 한꺼번에 2.1% 절상시켰고 이후 3년 간 21%를 절상시켰다. 하지만 50% 이상의 위안화 절상을 요구하는 국제 기준과는 거리가 있었다.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그림자가 다가오던 2008년 7월 페그제를 재도입, ‘1달러=6.83위안’으로 환율을 사실상 고정시켰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던 2년 간 미국과 일본, 유럽연합 등이 침체의 늪에 빠져있을 때에도 중국이 가장 빠른 경제회복을 보인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의 지속적인 압력에 직면하자 관리변동환율제로 다시 복귀한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도 ‘함정’이 있다. 중국은 한국처럼 자본·금융시장을 완전하게 개방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손’으로 환율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현재 중국의 관리변동환율제는 복수통화바스켓 방식이다. 즉, 달러·유로·엔·원 등 4개 주요 통화를 비롯해 영국 파운드, 러시아 루블, 호주 달러, 캐나다 달러, 싱가포르 달러, 말레이시아 링깃 등의 통화가치를 가중 평균으로 산정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환율 시장에 참가하는 마켓메이커(시장 조성자)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초로 매일 오전 9시15분(현지시간) 그날의 위안화 기준 환율을 고시한다. 현재 달러 대비 하루 상하 0.5%로 변동폭이 제한돼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국별 통화의 가중치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다. 통화바스켓에 들어가는 주요 상대 통화국의 무역비중에 따라 환율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중국이 자의적으로 산정 공식을 바꿀 수 있어 환율의 ‘블랙박스’로 불리기도 한다.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위안화의 마술은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중국의 환율 시스템 때문에 가능하다고 비난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0-10-12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