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차이나 리포트] “오락서 상품구매로… 中 검색 트렌드 이동중”

[新 차이나 리포트] “오락서 상품구매로… 中 검색 트렌드 이동중”

입력 2010-08-17 00:00
업데이트 2010-08-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색 70% 점유사이트 ‘바이두’ 리웨이 총경리

“이미 70% 이상 점유하고 있는데, 구글 덕을 볼 게 뭐가 있겠습니까.”

이미지 확대
‘바이두’ 리웨이 총경리
‘바이두’ 리웨이 총경리
중국 제1의 검색 사이트 바이두(百度·baidu.com)의 리웨이(李偉·38) 총경리는 구글 사태로 인한 영향에 대해 묻자, 자신감과 여유로 응수했다. 그는 “그래도 구글은 (중국에) 남아 있어야 한다. 경쟁해야 발전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2005년 단 28%를 점유하고 있던 바이두가 중국 최대 사이트로 발전한 비결에 대해서는 ‘고객 만족’이라는, 평범하지만 결코 실천하기 쉽지 않은 답을 내놓았다. 그는 “중국어에는 나(我)에 해당하는 단어가 38개가 있지만 영어는 단 1개뿐”이라면서 “이런 개념으로 접근하니 경쟁이 안 되는 것이다. 본토 특색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인들의 검색 트렌드를 보면 지난해까지도 오락 부문이 주를 이뤘지만 점차 상품 구매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08년 경제위기 때 오프라인 시장은 큰 타격을 입었지만, 온라인 시장은 오히려 성장했다는 것이다.

인터넷 도입이 중국인들에게 가져온 변화상에 대해서는 “생활 개념 자체가 바뀌었다.”면서 “사람들과 교류하고 정보를 얻고 물건을 사는 방식이 달라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또 하나는 기업들에 두 번째 생명을 줬다. 한국 기업들도 바이두를 이용해 많이 진출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종이 신문의 미래에 대해서는 “정보를 얻는 데 있어서 쉽고 빠르기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면서도 “중국인은 아직 먹냄새를 좋아하는 경향도 있고, 깊이 면에서는 인터넷 뉴스는 승부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9년 신축·확장해 옮긴 바이두의 새 본사는 근무 환경이 쾌적할 뿐만 아니라, 일하는 분위기도 자유로웠다. 청바지를 입고 있는 리 총경리에게 복장에는 별다른 제약이 없느냐고 묻자 “실내 금연·애완견 반입 금지, 이 두 가지 외에는 모두 자유”라면서 “출·퇴근도 자유로운 ‘탄력 근무제’를 도입하고 있다. 여기서는 일만 잘하면 된다.”는 답이 돌아왔다.

베이징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08-17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