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차이나 리포트] 中 게임시장 日 이어 2위…창저우, 게임인재 메카로

[新 차이나 리포트] 中 게임시장 日 이어 2위…창저우, 게임인재 메카로

입력 2010-08-17 00:00
업데이트 2010-08-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중앙 정부의 지원하에 애니메이션 산업의 중심도시로 자리잡은 중국 장쑤성(江蘇省) 창저우(常州)시는 최근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지난 3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한·중 게임인재양성기지’(이하 인재양성기지)를 열고, 기존 애니메이션 산업을 기반으로 게임 시장 육성에 나선 것이다.

세계적인 회계법인 PwC가 지난 6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게임 시장 규모로는 한국을 따라잡고 일본에 이어 아시아지역 2위로 떠올랐다. 최근 성장세가 다소 주춤하고는 있으나 PwC는 중국의 게임 산업이 2014년까지 연평균 33.5%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제는 소비를 넘어서, 게임 개발 시장까지 장악하겠다는 것이 창저우시의 목표다. 창저우시 창의산업기지관리위원회의 부주임 겸 창저우공학원 예술디자인원 원장인 친자(秦佳)는 “인재 양성 부분은 국제적인 수준을 따라가기 힘든 것이 현실이지만 희망은 있다.”면서 “7년 전 국가급 애니메이션기지로 인정 받았던 만큼, 이를 기반으로 게임 산업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재양성기지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 진청(金成)은 “중국 게임의 10개 중 5개는 무협”이라면서 “아직 중국은 게임 개발이나 교육 노하우는 없지만 자국 문화와 유저(이용자) 경향을 잘 아는 중국의 젊은이들이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으면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수업을 받고 있는 인재양성기지 1기 교육생은 모두 63명이다. 당초 103명이 입학했지만, 40명이나 중도 포기한 것이다. 게임 개발이 단순히 관심과 의욕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방증한다. 대신 힘든 고비를 넘기고 6개월에 걸쳐 이뤄지는 교육 기간의 결승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이들은 열정 위에 실력을 차곡차곡 쌓고 있었다. 정규 교육 시간이 끝나도, 밤 늦게까지 남아서 실습을 하는 경우가 다반사였고 실력이 우수한 10명은 따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다.

건축과에서 실내 인터리어를 전공했다는 린원젠(林文建·26)은 “중국 신화를 배경으로 한 게임을 개발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창저우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0-08-17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