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차이나 리포트] “도덕·법치·민주의식 높인다면 3대 경제체 걸맞은 국가로 성장”

[新 차이나 리포트] “도덕·법치·민주의식 높인다면 3대 경제체 걸맞은 국가로 성장”

입력 2010-05-11 00:00
업데이트 2010-05-1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왕치궈 베이징대 문화연구원장보

“세계 3대 경제체로 성장했지만 중국은 소프트파워 등을 포함한 종합국력 면에서는 아직도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중국은 아직도 발전이 필요한 국가입니다.”

이미지 확대
왕치궈 베이징대 문화연구원장보
왕치궈 베이징대 문화연구원장보
중국 베이징대 문화산업연구원 원장보 겸 브랜드연구센터 주임인 왕치궈(王齊國) 교수는 10일 “중국은 종합국력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특히 생활수준은 물론 도덕관념, 법치관념, 민주적 의식 등 국민들의 종합적인 소양을 높여야 비로소 중국은 부강한 나라로 우뚝 설 것”이라고 말했다. 왕 교수는 중국의 대표적인 문화 소프트파워 분야 연구자 가운데 한 명이다.

왕 교수는 중국의 소프트파워에 대해 아직도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경제력과 소프트파워는 비례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세계 2대 경제체인 일본이 정치·외교적으로 국제적인 영향력이 약한 것을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그러면서도 중국의 가능성을 높게 봤다. 왕 교수는 “일본은 사실상 정치·외교적으로 미국에 ‘예속’돼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영향력을 확대할 수 없다.”며 “반면 중국은 세계 어느 나라와도 동맹관계를 맺지 않아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가치관을 세계에 전파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유가(儒家)에 토대를 둔 중국 전통문화의 핵심은 화합과 중용이고, 모순을 용인하지 않는 것”이라면서 “이런 가치관이 왜 나쁘냐.”고 반문했다. 할리우드 영화를 통해 세계의 선악을 흑백논리로 양단하는 미국식 가치관의 전파와는 다르다는 것이다.

중국 문화산업 현주소에 대해 “문화산업이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 정도로 낮고, 경쟁력이 약한 데다 규모도 작다.”면서 “게다가 대부분 국내 소비 위주로, 국제화 정도가 상당히 못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국무원이 문화산업 진흥계획을 수립한 것도 정부 주도로 이처럼 낮은 문화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관영 언론의 국제화에 적극적인 이유와 관련, “중국의 발언권, 영향력의 확산에 주효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친구로부터 ‘아직도 중국에서는 변발을 하느냐.’라는 질문을 받은 딸의 미국 유학 경험을 곁들여 “중국에 대한 서방의 오해를 풀기 위한 것도 이유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서방의 시각이 아닌 동방의 시각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왕 교수는 “중국은 한국과 달리 아직도 개발도상국일 뿐”이라면서 “중국은 유가 사상의 영향으로 포용과 정의를 중시하기 때문에 설령 굴기하더라도 세계와 평화롭게 조화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stinger@seoul.co.kr
2010-05-11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