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헌 3국협력사무국 사무총장
개성공단 활성화·北 과학기술 활용을국가·민간 상호연계 채널 구축 필요
2011년 9월 서울에 설립된 한중일3국협력사무국(TCS)은 지난 5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후속 작업으로 최근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종헌(62) 3국협력사무국 사무총장은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반도 안보환경의 급변으로 3국 협력이 긍정적인 모멘텀을 확보했다”며 3국협력사무국의 역할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 사무총장은 1988년 외시 22회로 외교부에 입성해 조약과장 등을 지냈다. 다음은 일문일답.
지난달 29일 한중일3국협력사무국(TCS) 이종헌 사무총장이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동북아 경제협력에서 한국의 역할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지난 70년간 냉전체제로 인해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이 소모적인 전략적 경쟁에 치중해 왔다. 이제는 국민들의 삶을 개선시키는 지역협력으로 나가야 된다. 3국의 정부 메커니즘을 지원해서 냉전 체제 종식이라는 큰 방향으로 갈 수 있는 협력에 주력하겠다.
→동북아 경제협력에 대한 향후 정세와 전망은.
-현재와 같은 동북아 안보 환경에서는 한·중·일 협력체제 같은 소(小)다자주의 협력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양자주의와 다자주의는 제동이 걸리고 있다. 한국 정부가 내세우는 신북방, 신남방정책 등과 3국 정책의 공통 부분을 찾아서 ‘윈윈’할 수 있는 외교적인 노력이 병행될 것으로 본다.
→남북 경협에서 유망한 분야는.
-개성공단의 활성화와 함께 북한의 저임금을 활용한 노동집약적 산업을 활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론 북한의 과학기술을 활용한 산업발전 협력,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북한 젊은 과학도들의 소규모 창업을 지원해야 할 것으로 본다. 특히 북한이 동북아 경제공동체에 빠른 시일 내에 편입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한반도의 안정적 발전에 도움이 된다.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이 각각 어떤 식으로 경제협력에 참여할 수 있을까.
-러시아는 극동지역이 저개발돼 있어 러시아 미래에 어두운 측면이 있다. 한국이 러시아의 저개발된 극동지역 발전과 연계해 양국의 경제협력을 추진할 수 있다. 중국도 동북아 3성의 경제적 잠재력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경제협력을 추진할 것이고, 일본은 전형적인 공적개발원조(ODA)로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정부에 동북아 경제협력과 관련해서 조언을 한다면.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소다자주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거시적으로는 신북방, 남방정책, 한반도 신경제지도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중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결국은 민간기업들이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가 차원과 민간 차원의 긴밀한 상호연계를 위한 협력 채널 수립이 중요하다.
글 사진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7-23 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