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3> 장애인 사물놀이패 해피니스트

[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3> 장애인 사물놀이패 해피니스트

입력 2010-08-28 00:00
업데이트 2010-08-2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행복을 두드리는 천사들

“영모야! 장구가 너무 빠르니까 북이 못 따라오잖아.”

푸른 바다와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남해의 아름다운 섬 거제. 색깔 곱고 결이 고른 몽돌들이 해변을 가득 메운 동부면의 학동해수욕장에 난데없는 고함 소리가 울렸다.

이미지 확대
장애인 사물놀이패 해피니스트가 국립국악원 초록음악회에서 삼도농악을 연주하고 있다.
장애인 사물놀이패 해피니스트가 국립국악원 초록음악회에서 삼도농악을 연주하고 있다.
●2002년 음악치료를 위한 동아리로 출발

사회복지법인 거제도애광원(원장 김임순)에서 생활하는 중증 지적장애인들이 만든 사물놀이패의 야외 연습 현장이다. 이름하여 ‘해피니스트’. 신미경(38) 단장의 호통에 팽팽한 긴장감이 흐르기도 했지만 까만 몽돌이 빚어내는 깊고 차진 파도소리와 이들의 풍물소리는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2002년부터 연주활동을 하고 있는 ‘해피니스트’는 처음에는 음악 치료를 위한 동아리로 출발했다. 피나는 연습 끝에 연주 역량을 쌓아 국립국악원의 지원과 초청을 받기에 이르렀다. 국악원 김현진 국악교육담당관은 “재능은 있어도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연주자로 활동하지 못하고 비정규직 근로자로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이 안타까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단원 중 홍일점인 김은정양이 상모를 쓰며 밝게 웃고 있다.
단원 중 홍일점인 김은정양이 상모를 쓰며 밝게 웃고 있다.
●자기를 사랑하는 마음과 자신감 얻어

‘해피니스트’를 처음 만들고 이끈 신 단장은 “악기를 연주하면서 장애인들이 자기를 사랑할 수 있는 마음과 자신감을 얻게 된 것이 큰 소득이었다.”고 했다.

단원 중 맏형인 정영봉(28·지적장애 1급)씨는 연주를 잘하려고 매일 실내자전거를 타 몸도 건강해졌다고 자랑했다. 홍일점인 김은정(18·지적장애 3급)양은 “장구채를 잡고 있으면 날아갈 것 같다.”며 수줍게 웃었다.

이미지 확대
거제시 동부면 학동해수욕장에서 야외연습을 하고 있는 해피니스트.
거제시 동부면 학동해수욕장에서 야외연습을 하고 있는 해피니스트.
뙤약볕 아래에서 땀흘리며 연습한 단원들은 지난 22일 밤 서울 우면동 국립국악원 야외무대에 섰다. 하반기에 장애인 국악단을 창설할 국악원 초청 공연은 오디션인 셈이었다.

한여름 밤의 무더위를 식혀준 소낙비 속에 단원들은 사물놀이의 꽃인 삼도농악을 연주했다. 공연은 대성공이었다. 관객들은 신명난 손놀림에 기립 박수로 화답했다.

●2008년 독일 이어 내년 스위스 공연 예정

사실 이들은 이미 실력을 인정받았고 적지 않은 공연 경험도 갖고 있다.

2008년에는 거제도애광원 독일후원회 초청으로 독일로 가서 사물놀이 공연을 했고 내년에는 유네스코 초청으로 스위스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음악으로 당당하게 세상에 행복을 전하고 싶다는 ‘해피니스트’. 그들의 가락 속엔 장애도 편견도 없다. ‘자신감 있게 사회에 나가자’는 소박한 꿈을 넘어 단원들은 더 넓은 세상을 향한 힘찬 날갯짓을 시작했다.

글 사진 거제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0-08-28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