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건형 순회특파원 좌충우돌 유럽통신] 이브 생로랑 회고전에서

[박건형 순회특파원 좌충우돌 유럽통신] 이브 생로랑 회고전에서

입력 2010-08-17 00:00
업데이트 2010-08-17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프랑스 국민들 ‘패션 혁명가’에 경의 우린 앙드레 김을 어떻게 기릴것인가

지난주 말 ‘이브 생로랑(작은 사진) 특별전’이 열리는 파리 샹젤리제 거리로 나섰다. 추적추적 내리는 빗속을 거닐다 대형 전시장 프티팔레 앞에 수백미터 길이로 늘어선 줄 끝자락에 섰다. 빗줄기가 갑자기 굵어져 바짓가랑이를 흠뻑 적시기 시작했건만 웬걸, 사람들은 좀처럼 떠나지 않았다. 파리에서 두 시간 거리인 디종에서 가족과 함께 테제베를 타고 왔다는 한 할머니에게 물었다. “왜 전시회를 보러 오셨어요?” 답은 간결했다. “이브 생로랑이잖아요.”

이미지 확대
이브 생로랑 특별전이 열리고 있는 파리 프티팔레에 들어가려는 시민들이 빗줄기를 아랑곳하지 않고 길게 줄지어 서 있다. 파리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이브 생로랑 특별전이 열리고 있는 파리 프티팔레에 들어가려는 시민들이 빗줄기를 아랑곳하지 않고 길게 줄지어 서 있다.
파리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오후 5시까지로 제한된 입장 시간 때문에 전시회 운영요원들이 차단선을 설치하자 사람들이 아우성치기 시작했다. 들어가기 힘들 것이라는 설명에도 혹시나 하는 마음에 상당수가 자리를 지켰다.

●작품전시 6 개월째 30만명 찾아

이날 하루 동안 프티팔레를 찾은 관람객은 3000여명. 3월 초 전시회를 시작한 뒤 누적 관람객은 30만명에 이른다. 당초 8월 말까지인 전시기간도 연장될 예정이다. 3시간가량을 기다려 들어선 프티팔레는 2년 전 타계한 이브 생로랑의 생애를 한눈에 담아 놓은 런웨이였다.

●빗속 끝없는 관람 행렬

1936년 알제리 오랑에서 태어난 왕따 소년이 어떻게 약관의 나이에 당대 최고의 디자이너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후계자로 지명될 수 있었는지, 그리고 최고의 명품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그가 얼마나 혼신의 힘을 쏟았는지가 400여점의 작품과 영상 속에 녹아 있었다. ‘여성복 바지를 탄생시킨 혁명가’, ‘흑인 모델을 처음으로 패션쇼에 올린 박애주의자’, ‘세계의 문화, 순수 미술과 패션을 접목시킨 창조자’ 같은 화려한 수식어들조차 40년간 이룬 그의 업적을 치장하기에는 부족해 보였다.

그러나 정작 기자가 놀란 것은 따로 있었다. 관람객들이었다. 이브 생로랑전을 찾은 사람들은 대부분 프랑스인들이었다. 세계 각국에서 몰려든 사람들이 점령하고 있는 파리의 다른 박물관이나 전시장에서는 볼 수 없는 풍경이었다. 관람객들도 할아버지, 할머니부터 엄마 손에 이끌려온 아이들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대중’들이었다. 이들에게 이브 생로랑은 프랑스의 문화를 세계에 알린 전도사이자 자존심 그 자체였다.

이브 생로랑전을 찾은 것은 전날 앙드레 김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접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지금처럼 현란한 명품 브랜드가 낯설었던 그때 이브 생로랑은 최고의 옷을 상징하는 대명사였다. 좀 더 자란 뒤 한국에도 패션 디자이너라는 직업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가장 먼저 귓속에 박힌 이름이 앙드레 김이었다.

각각 프랑스와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이너로 첫손에 꼽히지만 그들이 살았던 생애는 큰 차이가 있다. 2002년 퐁피두 센터에서 열린 생로랑의 고별쇼에는 대통령을 비롯한 정·관계 인사와 유명인들이 인산인해를 이뤘다. 무한한 존경이 뿜어져 나왔다. 반면 사비를 털어 세계 각국에서 한국을 알리기 위해 패션쇼를 열어 가며 노력했던 앙드레 김은 희화화된 특유의 말투와 ‘김봉남’으로 먼저 기억된다.

●앙드레 김 재조명 큰 기대

‘프랑스가 패션의 나라이기 때문에’ 이브 생로랑전에 사람들이 몰리는 것은 아니다. 전시회에서 만난 프랑스인의 대부분은 이브 생로랑보다는 H&M, 첼리오 등 값싼 패스트패션에 익숙한 사람들이었다. 그럼에도 이브 생로랑이라는 자국 최고의 디자이너를 기억하고, 좀 더 많이 알고 싶고, 그가 남긴 업적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줄을 서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거장이었던 이브 생로랑을 사후 전설로 만든 것은 패션을 이해하느냐 아니냐의 문제는 아니었던 셈이다. 앙드레 김은 어떤 디자이너로 기억될 것인가. 우리가 하기에 달렸다. 지금부터.

파리 박건형 순회특파원

kitsch@seoul.co.kr
2010-08-17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