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 <1> 書院으로 간 선생님들

[이종원 선임기자 카메라 산책] <1> 書院으로 간 선생님들

입력 2010-08-03 00:00
업데이트 2010-08-03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비정신 익혀 君師父一體 꿈꾼다

해마다 이맘때면 교과서 밖의 ‘산교육’인 체험학습에 참가하는 아이들의 움직임이 바쁘다. 입시와 취업에서도 스펙이나 학습 못지않게 다양한 체험과 도전정신에 가중치를 두고 있다.

이미지 확대
퇴계 이황 선생의 가르침을 얻으려 경북 안동의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에 입교한 일선 고등학교 교사들이 도산서원 전교당에서 전통의례를 배우고 있다.
퇴계 이황 선생의 가르침을 얻으려 경북 안동의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에 입교한 일선 고등학교 교사들이 도산서원 전교당에서 전통의례를 배우고 있다.


체험학습이 교육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학생들만큼이나 바쁜 선생님들이 있다. 한여름 더위로 숨이 턱까지 차오르던 지난달 26일 경북 안동의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은 퇴계 이황 선생의 가르침을 얻으려 입교한 일선 교사들의 수업준비가 한창이었다. 도포를 입고 유건을 쓴 선생님들의 이마에는 비지땀이 흐른다.

구복식(57·안동공고) 교사는 “더운 날씨보다 최근 각종 추문과 비리로 휘청거리는 교육현장이 더 불쾌하다.”며 말을 이었다. “교사들의 실천과 솔선이 우선돼야 인성교육이 됩니다.” 잠시 후 황색도포를 입고 갓을 쓴 정관(72) 선비문화수련원장이 ‘일일서생’들 앞에 등장했다. 그는 ‘교실의 붕괴’를 걱정하며 “선비정신으로 아이들에게 사람답게 사는 법을 가르치자.”고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알묘(謁廟). 퇴계의 위패가 모셔진 도산서원 상덕사에서 유생 복장의 교사들이 참배하고 있다.
알묘(謁廟). 퇴계의 위패가 모셔진 도산서원 상덕사에서 유생 복장의 교사들이 참배하고 있다.


퇴계 선생의 위패에 참배하는 알묘례를 마치고 내려온 여영옥(42·경주 안강여중) 교사는 하얀 고무신을 신고 있었다. 그녀는 “아이들은 교사가 가장 고상하고 평범한 모습으로 보일 때 존경한다.”며 중용적인 덕목을 배워 학생들과 친해지고 싶다고 했다.

수련과정은 의례 교육과 선비정신의 이해를 돕기 위한 체험 및 토의 등으로 짜여 있다. 저녁 분임토의에 참석한 김병일(65) 한국국학진흥원장은 “조선이 세계 역사상 최장수국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선비정신’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교사들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라는 ‘잊힌 말’을 되찾고 싶은 교사들.

이미지 확대
‘망기(望記)’쓰기 체험을 하고 있는 교사들.
‘망기(望記)’쓰기 체험을 하고 있는 교사들.


이미지 확대
퇴계의 종손인 이근필씨와 종택을 둘러보고 있다.
퇴계의 종손인 이근필씨와 종택을 둘러보고 있다.


2박3일간의 교육에서 선생님들에게 가장 절절한 깨달음으로 다가온 것은 500년 전 퇴계 선생이 일평생 온몸으로 실천한 그지없는 제자 사랑이 아니었을까?

jongwon@seoul.co.kr
2010-08-03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