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50/50’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50/50’

입력 2011-11-25 00:00
업데이트 2011-11-25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담담하게 그려낸 이십대 시한부 인생

아담(조셉 고든 레빗)은 라디오 방송의 작가다. 요즘 들어 등이 쑤시도록 아파 병원을 찾은 그는 희귀암 판정을 받는다. 나름대로 성실하고 건강한 생활을 꾸렸던 27살 청년은 영문을 몰라 충격에 빠진다. 친구, 연인, 직장 동료에게 알리고 용기를 내 부모에게도 암에 걸렸다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인터넷을 뒤져본 친구는 그 병의 생존 확률이 50대50이라고 알려 준다. 절반의 확률. 힘을 북돋워 열심히 살 것인가, 절망하고 죽음을 준비할 것인가. 하지만 그에게 조용히 명상할 시간은 주어지지 않는다. 사랑한다고 믿었던 여자는 바람이 나고, 친구는 아담의 병을 미끼로 여자들과 놀아나기에 바쁘며, 극성맞은 엄마는 틈만 나면 전화해 안부를 챙긴다.

연이어 관객을 찾아온 두 편의 미국 영화는 이른 나이에 죽음과 대면한 청춘을 다룬다. 보통 이런 유의 영화는 감정 과잉을 주특기로 삼아 관객이 눈물콧물을 쏟아내 탈진하게 한다. 24일 개봉한 ‘50/50’은 한달쯤 앞서 개봉한 ‘레스트리스’(Restless)와 다른 노선을 취한다.

근래 청춘과 죽음의 주제에 매달려 온 거스 반 산트는 ‘레스트리스’에서 아예 현실의 판타지를 구한다. 죽음이 주눅 들 만큼 두 아이는 아름답게 찰랑거린다. 오죽하면 죽음의 얼굴이 스크린에 끼어드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겠는가.

‘레스트리스’가 새침하다면 ‘50/50’은 담담한 게 특징이다. 죽음을 앞둔 남자를 보며 엉엉 울 준비를 한 관객은 ‘50/50’이 심심하다고 여길 것 같다. 익숙한 감동은 없다. 단점이 적은 데 주목해야 할 영화다.

실제로 암에 걸린 각본가 윌 라이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썼고, 극 중 친구 역으로 나오는 세스 로건은 라이저의 친구로서 많은 도움을 줬다고 한다. ‘50/50’은 사실적인 까닭에 건조하게 느껴지는 경우다.

인물의 심리적인 동요와 실제로 일어날 법한 상황에 대해 섬세한 묘사가 가능했던 반면 불필요한 드라마와 과장은 줄였다. 아담이 혼자 버스 안에 앉아 있는 장면이 영화의 스타일을 대표한다. 울컥 설움이 북받쳐 오른 아담이 눈물을 흘릴 판이지만, 영화는 눈 가까이 카메라를 들이대 감정의 폭발을 유도하지 않는다. ‘50/50’은 애써 세련된 척하는 영화일까.

청춘은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때다. 이를 시샘하듯 죽음이 문을 두드려 빛을 일시에 꺼트리려 하니 비극이 따로 없다. 그러나 죽음으로 기어 들어가고 있다는 생각에 슬픔을 느끼는 순간에도 삶의 시계는 째깍거리며 돌아간다.

‘50/50’은 젊은 남자가 차분하게 죽음을 준비하고 거대한 의무감을 품는 게 오히려 이상한 일 아니냐고 묻는다. 준비하던 라디오 프로그램을 꼭 끝내겠다는 다짐 외에 아담이 특별히 하는 행동 같은 건 없다. 여전히 실수를 저지르고 어색한 인간관계는 개선되지 않는다. 언제 마지막이 닥칠지 모르지만, 인간은 어제처럼 오늘도 서툴게 사는 거다.

병마를 이긴 미국의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각별한 마음으로 ‘50/50’의 리뷰를 썼다.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이나 가족이 ‘50/50’으로부터 더 많은 교훈을 얻는 건 당연하다. ‘50/50’의 좋은 점은, 꼭 그런 사람이 아니어도 감정의 찌꺼기 없이 각자 삶의 진실을 발견하도록 돕는다는 데 있다.

주변을 다르게 보든 하루하루를 새롭게 대하든 그걸 관객의 몫으로 돌려놓는다. 최선의 의도만 지닌 채 별다른 욕심을 부리지 않은 영화가 거둔 의미 깊은 성과다.

영화평론가

2011-11-25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