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마음의 고향’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마음의 고향’

입력 2011-06-24 00:00
업데이트 2011-06-24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교영화 시발점 고혹적인 한국미 시적 흥취가 절절

2004년 말 ‘자유만세’(1946)와 ‘양산도’(19 55)의 DVD를 선보인 뒤, 한국영상자료원은 지속적으로 한국 고전영화 DVD를 내놓았다. 당대의 한국영화만 홈비디오로 제작되는 현실에서 이 시리즈가 갖는 의미는 크다. 보기 어려운 한국영화의 감상 기회를 부여할 뿐 아니라 수집, 발굴, 복원된 결과물이 연구 자료로 쉽게 활용 가능해진 것이다. 리스트에는 신상옥, 김기영, 이만희 같은 유명 감독 영화는 물론 일제 강점기나 해방 직후에 만들어진 희귀한 영화도 포함돼 있다.

이미지 확대


윤용규의 1949년 작 ‘마음의 고향’은 해방기를 대표할 만한 작품이다. 얼마 전까지 제작자가 보관해온 16㎜ 프린트의 열악한 상태로만 볼 수 있었으나, 2005년 일본 국립필름센터에서 잘 관리된 마스터 필름을 입수했다고 한다. 따로 복원 작업을 거치지 않았으나 영화의 상태는 놀랍도록 양호하다.

‘마음의 고향’은 함세덕의 희곡 ‘동승’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지금껏 수많은 극단이 이 작품을 무대에 올렸으며, 2002년에는 주경중이 연출을 맡아 영화로 재등장한 적이 있다. 한국영화사연구가 김종원은 세 가지 측면에서 ‘마음의 고향’의 특별한 가치를 찾는다.

그의 글에 따르면 ‘마음의 고향’은 최초의 해외 교환 상영작이고, 당시 항일영화 사이에서 보기 드문 문예영화이며, 한국의 첫 번째 불교영화다. 한국 불교영화는 안타깝게도 장르 영화로 안착하진 못했지만, 시발점인 ‘마음의 고향’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 해외에 많이 알려진 한국 불교영화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과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에 드리운 ‘마음의 고향’의 그림자를 찾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도성의 어머니는 세 살 먹은 아기를 절에 버리고 떠났다. 주지 스님의 손에 의해 도성은 어린 스님으로 성장한다. 소년은 깊은 산속을 떠나 바깥세상에 나가고 싶고, 어머니의 따뜻한 품이 그립다. 소나무에 새겨 놓은 금만큼 자라면 어머니가 올 거라는 나무꾼 아저씨의 말에, 도성은 툭하면 소나무에 키를 잰다. 하지만 올라가는 금에 맞춰 자라기를 벌써 여러 번, 어머니는 소식 한 번 전하지 않는다.

어느 날 서울 아씨가 공양을 바치러 온다. 예쁜 그녀를 보고 도성은 꿈에 그린 엄마를 만난 듯 마음이 설렌다. 어린 아들을 병으로 잃은 그녀 또한 도성에게 정을 느낀다. 이윽고 아씨는 도성을 수양아들로 받아들이기를 결심하는데, 도성의 업보를 아는 주지 스님은 반대 의사를 밝힌다.

‘마음의 고향’은 불교의 말씀을 친밀한 방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아이를 잃은 두 여인과 버려진 소년을 통해 인연을 맺는다는 것의 뜻을 묻는다. 감동적인 내용 못지않게 영화의 외형도 인상적이다.

‘마음의 고향’은 이제 감독으로 더 익숙한 한형모(1917~1999)가 카메라를 잡던 때의 영화다. 그는 담담한 톤으로 고혹적인 한국미를 그려 보인다. 도성의 생모가 슬픔으로 떠나는 장면이 압권이다. 풀과 나무와 산과 물, 그리고 길이 어우러진 풍경은 흘러간 시간처럼 다시 보기 어려운 시적 흥취를 자아낸다.

‘마음의 고향’의 또 다른 기쁨은 갓 스물을 넘기던 시절의 최은희(85)를 만나는 데 있다. ‘마음의 고향’은 그녀의 세 번째 출연작이다. 최은희가 1960년대에 출연한 영화에 익숙한 관객은 그녀의 앳된 모습에 눈이 휘둥그레질 법하다.

영화평론가
2011-06-24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