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병상·김윤호·박대조 등 가을 화랑가 사진展 풍성
깊어가는 가을 화랑가에 사진전이 풍성하다. 카메라 렌즈를 통해 세상과 인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들은 우리가 무심히 흘려보냈던, 혹은 애써 외면했던 현실을 직시하고 성찰하게 만든다.일상의 사소한 이야기들을 특유의 감성으로 기록해온 방병상(40) 작가의 개인전 ‘죽기에는 너무 젊은’이 11월 7일까지 서울 신문로 성곡미술관에서 ‘2010 성곡미술관 내일의 작가’전으로 열린다. 도시 생활을 정리하고 경기 파주에 정착한 작가는 도시화와 상업화 바람에 밀려 점점 사라지는 풍경과 새롭게 생성되는 공간의 현장을 담담하게 보여준다.
전통주 제조 공장의 증기, 당인리 발전소의 굴뚝 연기, 석재작업장에 흩날리는 돌가루와 분진 등은 흔적 없이 소멸하는 것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나타낸다. 파주 주변 길가에 실제 존재하지 않는 나무의 이미지를 덧붙인 편집사진은 상실에 대한 아쉬움을 넘어 미래에 대한 희망의 표현이다. 병영체험과 장어 양식장, 댄스홀 풍경을 다큐멘터리 기법으로 찍은 영상도 함께 소개된다. (02)737-7650.
서울 가회동 원앤제이갤러리에서 11월 14일까지 열리는 김윤호(39) 작가의 전시 제목은 ‘사진전-SAJINJEON’이다.
사진전에 ‘사진전’이란 담백한 제목을 붙인 건 어떤 특정 주제나 소재가 아닌, 사진이란 매체에 대한 작가의 근원적인 고민을 담고 있다는 의미다. 경주 남산의 소나무, 제부도의 노을, 대부도의 풀숲 등 일반인에게도 유명한 촬영 장소를 찍은 그의 사진들에는 공통적으로 조명기가 설치돼 있다. 돌무더기, 대나무 등 피사체 양쪽에 두 대의 조명기를 마주보게 설치한 이런 구도는 우리에게 익숙했던 풍경을 낯선 시각으로 바라보게 한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사진은 대중과 가장 친숙한 창작매체가 됐지만 그로 인해 똑같은 장소, 똑같은 프레임 등 사진의 정형성이 강화된 측면도 없지 않다.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역으로 “사진은 사진일 뿐 아무 의미가 없다는 걸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한다. (02)745-1644.
박대조(40) 작가가 서울 팔판동 갤러리진선에서 31일까지 여는 개인전 ‘염원’에선 사진의 다양한 변주를 만날 수 있다. 한국화를 전공하고, 대리석에 산수화 음각 작업을 해온 그는 사진으로 활동영역을 넓혀 지금은 사진과 조각·회화를 결합한 작업들을 시도하고 있다.
전시는 네팔 여행에서 만난 아이들의 모습을 클로즈업한 사진을 소재로 하고 있다. 때 묻지 않은 아이들의 눈을 통해 순수하고 맑은 인간 내면의 감성을 보여준다. 렌티큘러(입체렌즈)를 이용해 보는 각도에 따라 인물과 풍경이 겹쳐지고, 라이트 박스의 조명이 반복적으로 바뀌어 미디어아트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02)723-3340.
세계적인 잡지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사진전도 오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열린다. 지구 곳곳의 아름답고 놀라운 자연 경관과 동식물의 역동적 생태계, 그리고 난개발로 인한 환경 파괴의 현장과 이에 맞선 환경 보존 노력 등을 담은 사진 180여점을 선보인다. 1544-1681.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0-22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