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님 묘 조각으로 꾸밀 것”

“아버님 묘 조각으로 꾸밀 것”

입력 2010-05-28 00:00
업데이트 2010-05-2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혁림 미술관 관장 전영근 화백

63회 칸 영화제 수상작 ‘하하하’에는 작곡가 윤이상, 소설가 박경리, 시인 김춘수 등 통영이 배출한 문화예술인 숫자에 주인공이 깜짝 놀라는 대목이 등장한다.

이미지 확대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직 당시 미술관에 들러 직접 구입해 화제가 됐던 고 전혁림 화백 그림 ‘통영항’. 작은 사진은 전 화백.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직 당시 미술관에 들러 직접 구입해 화제가 됐던 고 전혁림 화백 그림 ‘통영항’. 작은 사진은 전 화백.
지난 25일 94세를 일기로 별세한 전혁림 화백도 고향 통영을 사랑해 화폭에 자주 담았다.

대를 이은 화가이자 ‘전혁림 미술관’ 관장을 맡고 있는 아들 전영근(52) 화백은 2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지금은 경황이 없어서 못 하지만 차후 직접 디자인을 해 작은 조각으로 아버지 묘를 꾸밀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어 “아버지께서는 지난해 12월까지 붓을 놓지 않으셨다.”고 말했다. 이 신작들을 모아 전 관장은 올 4월 서울 인사동에서 부자(父子) 전을 열기도 했다. 그는 “매일 새벽 5시면 어김없이 캔버스 앞에 앉으셨고,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규칙적인 생활에는 변함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통영의 피카소’로 불린 전혁림 화백은 김춘수, 유치환, 윤이상 등 통영이 배출한 문화예술인과도 깊은 우애를 나누었다. 특히 김춘수 시인은 1995년 전 화백의 팔순연에 참석한 뒤 “당신 얼굴에는/ 웃니만 하나 남고/당신 부인께서는/위벽이 하루하루 헐리고 있었지만/ 코발트 블루/ 이승의 더없이 살찐 /여름 하늘이/당신네 지붕 위에 있었네”란 시를 남겼다. 전 화백과 통영 출신 문화예술인들은 1945년 통영문화협회를 창립하기도 했다.

2003년 5월 세운 전혁림 미술관은 “예술과 문화는 국적이 있어야 한다. 국적 있는 그림이 세계적 그림”이라고 강조했던 전 화백의 뜻에 따라 ‘가장 통영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믿음으로 만들어졌다. 미술관의 외형은 등대와 사찰의 전통 탑을 본떴고 외벽은 전혁림 화백과 전영근 화백의 작품을 타일로 구워 장식했다.

1916년 통영에서 태어난 전 화백은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 상황 탓에 독학으로 그림을 익힌 뒤 90대의 나이에도 신작을 내놓아 젊은 작가들의 귀감이 됐다.

발인은 29일 오전 11시. 장지는 경남 고성 이화공원이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5-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