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시 읽기 | 《2011 좋은시》 중에서] 사과나무를 통해 읽는 아름다운 꽃길

[좋은 시 읽기 | 《2011 좋은시》 중에서] 사과나무를 통해 읽는 아름다운 꽃길

입력 2011-10-02 00:00
업데이트 2011-10-02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과나무로 가는 길

윤정구

사과 속에는 사과나무로 가는 길이 있다

여름 가을 겨울 거쳐 봄으로 가는 사과나무의 길

사과꽃 피는 사월 스무 날이 올 때까지

죽은 나무처럼 조용히 눈비 맞으며 기다리다가

봄이 되면 돌연 연두빛 잎을 틔우고

앵두보다 작은 열매 가슴에 품고

놀기 좋아하는 어린 열매 예쁘다고 달래어

의젓한 사과로 길러내는 사과나무의 길

사과 속 한가운데에

그런 신기한 블랙박스가 들어 있다.

이미지 확대


윤정구의 <사과나무로 가는 길>이란 시를 택한 건 “사과 속 한가운데에 / 그런 신기한 블랙박스가 들어있다”는 마지막 구절에 반해서였다. 사과 속 한가운데에 있는 씨앗을 ‘블랙박스’로 본 것이 신통하다. 참신한 상상력을 엿보이게도 했다.

블랙박스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비행 사고의 원인과 경위 등을 밝히는 데 자료가 될 수 있는 기기다. 사고 당시의 비행고도, 기수의 방위, 엔진상황, 조종사들의 대화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과와 아무 관계없는, 비시적인 과학용어로 시적인 자연현상을 구체화 한 것인데, 시를 읽는 또 다른 재미도 갖게 한다.

‘길’이란 말은 우리에게 늘 익숙하다. 인간의 삶과 더불어 만들어지고 존속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시의 소재로 길이 많이 쓰여 온 것도 이 친숙함 때문이다. 만들어진 길은 사람이나 짐승의 왕래를 쉽도록 해주는 것이다. ‘사과나무로 가는 길’은 그러니까 사과의 생성과정 이야기인데, 그 과정이 사과 속 한가운데 있는 신기한 블랙박스, 곧 씨앗에 모두 저장돼 있다는 주장이다. 감미로운 자연 현상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사과나무가 자신의 길을 따라 움직여가는 것처럼 기술한 <사과나무로 가는 길>.

잎과 꽃과 열매 등 사과나무의 계절적 변화를 그리는 방법도 섬세하다. 이미지 시의 정통적인 기법을 수행하고 있어 다소 고루하고 상식적이란 인상이 있다. 하지만 이런 접근이 오히려 좋게 느껴지기도 한다.

시 속에는 “사과 꽃 피는 사월 스무날이 올 때까지’”란 구절이 나온다. 왜 하필이면 사과 꽃이 그날 핀다고 했느냐고 물었더니 어렸을 때 사별한 큰 누나의 기일이 그날이어서, 흐드러지게 핀 사과 꽃이 늘 아픈 기억으로 떠올라 와서 쓴 것 같다고 했다.

올해 예순넷이 된 그는 시집 《눈 속의 푸른 풀밭》 《햇빛의 길을 보았니》와 최근 《쥐똥나무가 좋아졌다》를 낸 바 있다. 그는 또 작년서부터는 시간에 대한 시들을 쓰고 있는데 힘이 닿는 한 거기에 더욱 천착하고 싶다고 했다.

글_ 이유경 편집주간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