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치 날때 시술… 예쁜치열 만들어요

영구치 날때 시술… 예쁜치열 만들어요

입력 2010-05-17 00:00
업데이트 2010-05-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장기 아동의 치과 교정치료 시기는 의사에 따라 견해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조기에 교정할수록 유리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교정치료의 목적은 바른 치열을 갖게 하고, 얼굴 및 턱뼈의 바른 성장을 유도해 정상적인 기능과 외관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런 치료목적에 가장 적합한 성장기 아동의 교정치료 시기는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날 무렵이다.

이미지 확대
성장기 아동의 가장 적합한 교정치료 시기는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날 무렵이다. 사진은 치아 교정 전(왼쪽)과 후.  경희의료원 치대병원 제공
성장기 아동의 가장 적합한 교정치료 시기는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날 무렵이다. 사진은 치아 교정 전(왼쪽)과 후.
경희의료원 치대병원 제공


성장이 왕성한 이 시기에 교정치료를 시작하면 턱뼈의 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영구치열로 교환이 끝나면 가지런하고 예쁜 치열을 얻을 수 있어서다. 성장기 아동의 교정치료 시기는 크게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새로 나는 혼합치열기(평균 6∼10세)와 ▲영구치로의 전환이 끝난 영구치열기(평균 11∼12세)로 구분할 수 있다.

혼합치열기=혼합치열기에 교정치료가 필요한 아동은 턱뼈의 성장·발육에 문제가 있는 경우다. 아래턱이 크고 앞으로 돌출돼 있거나, 위턱이 작고 뒤쪽에 있어 앞니가 거꾸로 물리는 주걱턱, 위턱이 앞으로 돌출돼 있고 아래턱이 뒤에 있는 무턱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런 경우 조기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턱뼈의 부조화가 심할수록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즉 성장이 왕성한 시기에 턱뼈의 성장을 조절하여 턱뼈 간의 부조화를 해소하거나 성장 방향을 바꿔줘야 하며, 치열 정리 등의 문제는 영구치가 나온 후 2단계 치료로 해결하면 된다. 턱뼈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아랫니가 윗니보다 앞에 있는 반대교합도 조기에 치료하면 간단한 교정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흔한 구강악습관도 이른 교정이 필요하다. 흔한 구강악습관으로는 손가락 빨기·혀 내밀기·입술이나 손톱 깨물기 등을 들 수 있다. 손가락을 빨거나 혀를 내미는 습관은 윗니를 튀어나오게 하거나 위아랫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고 사이가 뜨는 현상을 초래하며, 방치하면 부정교합의 원인이 된다.

영구치열기=이와 달리 영구치열기에 교정치료가 필요한 어린이도 있다. 턱뼈의 성장·발육에는 문제가 없지만 치아가 가지런하지 않고 덧니가 났거나, 앞니 사이가 벌어진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턱뼈의 성장조절 치료를 받은 어린이들도 이 시기에 2차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시기에는 교정장치를 부착하여 치아를 가지런히 하거나 위아랫니가 잘 물리도록 하는 게 일반적인 치료다. 물론 이런 경우라도 부정교합 상태에 따라 적절한 교정치료 시기에 차이가 있으므로 진단 결과에 따라 적정 치료시기를 정하는 게 바람직하다.

예방교정=예방교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유치가 충치나 외상으로 너무 일찍 빠진 경우 공간을 유지해주지 않으면 영구치가 나올 공간이 없어져 치열이 비뚤어지기 쉽다. 이런 경우에는 스스로 탈착이 가능한 가철식 교정장치나 간단한 공간 유지장치로 영구치의 바른 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 선천적으로 영구치가 결손된 경우나 영구치가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나오는 경우, 유치가 자연 탈락되지 않는 유치유착도 교정치료가 필요하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도움말 경희의료원 치대병원 교정과 윤현주 교수

2010-05-17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