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쳐 먹고 쪼사 먹고… 얼큰한 국물에 입이 호강하네

데쳐 먹고 쪼사 먹고… 얼큰한 국물에 입이 호강하네

입력 2013-07-25 00:00
업데이트 2013-07-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남 장흥 여름 3味 갯장어 샤부샤부·소고기 낙지 탕탕이·된장 메기매운탕

남도 여행, 생각만으로도 즐겁다. 빼놓을 수 없는 이유, 풍성한 먹거리다. 올여름 남도로 휴가를 떠난다면 하루쯤은 부러 전남 장흥으로 발길을 돌리길 권한다. 식욕을 자극하는 여름철 별미가 유난히 많기 때문이다. 산과 들, 바다와 강이 어우러지며 길러낸 싱싱한 식재료에 남도 특유의 맛이 버무려져 장흥 어디를 가도 만족스럽다.



사진 1
사진 1




사진 2
사진 2




사진 3
사진 3


‘하모도 한철’이라 했다. 여름에 잡힌 갯장어가 특히 맛있다는 뜻이다. 하모는 갯장어의 일본식 표현이다. 정약전이 지은 ‘현산어보’는 갯장어를 ‘견아리’(犬牙?), 즉 개와 같은 이빨을 가진 장어라고 적고 있다. 성질도 포악해서 물 밖으로 나오면 곧잘 사람에게 덤벼든다. 여기에 뱀을 닮은 외모를 하고 있으니 그다지 먹음직스러운 식재료는 아니다.

우리 선인들도 갯장어를 그리 즐기지 않았다. 하지만 일본인들은 다르다. 책 ‘현산어보를 찾아서’(이태원 지음)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엔 갯장어를 수산 통제 어종으로 지정해 함부로 잡거나 유통시키는 것을 금지했다. 어획량이 저조하면 어민들이 숨겨 놓고 내놓지 않는다고 의심해 배 밑창까지 조사할 정도였다.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갯장어가 여름철 보양식으로 인기가 높다. 식감이 쫄깃하고 성인병 예방이나 원기 회복에 좋다고 알려지면서부터다. 갯장어는 7~8월에 잡히는 것을 최고로 친다. 8월이 지나면 몸에 기름기가 많아져 주로 육즙을 내서 먹는다.

현지인들은 갯장어를 여름철 최고의 횟감으로 꼽는다. 하지만 대개는 샤부샤부(사진 ①)로 살짝 익혀 먹는다. 갯장어에 촘촘하게 칼집을 낸 뒤 육수에 데쳐 자색 양파, 부추 등과 함께 싸 먹는다.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싱싱회마을(863-8555, 이하 지역번호 061), 해돋이(862-7234) 등이 알려졌다. 특히 싱싱회마을 육수가 진국이다. 장어 뼈를 고아낸 육수에 전복, 대추 등을 넣고 끓인다. 샤부샤부를 먹은 뒤엔 녹두죽으로 입을 가신다. 올해 유난히 생산량이 떨어져 값이 많이 올랐다. 한 접시에 9만원 선.

‘여름철 지쳐 누운 소도 벌떡 일어서게 한다.’ 식도락가라면 주인공이 누군지 단박에 알 터다. 스태미나 식품으로 즐겨 먹는 낙지다. 우리나라 낙지 생산 1번지는 장흥이다. 장흥군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잡힌 낙지의 60%가량이 전남산이고 이 가운데 40% 정도가 장흥산이었다. 장흥이 전국 최대 낙지 산지가 된 건 2008년부터다. 어민들이 김 양식에 염산을 사용하지 않은, 이른바 ‘무산김’을 생산하면서 득량만의 생태계가 살아난 게 기폭제가 됐다. 이젠 어민들이 수작업으로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다 보니 어류나 연체동물의 먹잇감이 풍부해졌다. 김 맛도 좋아지고 낙지 등의 해산물 생산량도 덩달아 늘어나게 된 것이다.

장흥산 낙지는 머리가 작다. 발은 오종종하고 길다. 몸 맛은 씹을수록 쫄깃쫄깃하다. 한데 먹는 방식이 문제다. 영국의 한 일간지가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음식 8가지’ 가운데 낙지를 1위에 올렸다고 알려진 데 이어 국내에서도 최근 낙지 관련 사고가 잇따랐다. 낙지는 한 마리를 둘둘 말아 통째 먹는 게 최고다. 통째 먹는 게 불편하면 낙지를 잘게 ‘쪼사’(잘게 자른다는 뜻의 사투리) 먹는 ‘탕탕이’(사진 ②)가 좋겠다. 현지에선 한우 육회를 얹어 먹는 ‘소고기 낙지 탕탕이’가 최근 인기를 얻고 있다. 읍내 만나숯불갈비(864-1818~9)와 싱싱회마을이 알려졌다. 3만 5000~4만원. 낙지는 낱마리에 3000~4000원이다. 생산량에 따라 매일 경매가가 달라진다. 대리 수산물어판장에서 싸게 살 수 있다.

메기매운탕(사진 ③)도 빼놓을 수 없다. 핵심은 된장으로 맛을 낸다는 것. 그게 대체 무슨 맛이냐고 되물을 수도 있겠다. 된장의 구수한 맛과 고추장의 얼큰한 맛이 어우러졌다고 보면 틀림없겠다. 먼저 소머리와 사골로 육수를 낸다. 시래기와 들깨 등도 듬뿍 넣는다. 여기에 된장과 약간의 고추장을 섞은 소스를 넣는다. 끓일수록 국물은 걸쭉해지고 시래기 등엔 양념 맛이 듬뿍 밴다. 민물새우도 빼놓을 수 없다. 매운탕 맛을 한결 시원하게 만들어 준다. 2만~4만원. 탐진강 메기탕(864-6543)이 유명하다.

글 사진 장흥 손원천 여행전문기자 angler@seoul.co.kr

2013-07-2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