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출판사, 젊은 시인 위주 시인선에 ‘새로운 시선’ 되길”

“대형 출판사, 젊은 시인 위주 시인선에 ‘새로운 시선’ 되길”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2-22 14:30
업데이트 2024-02-22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타이피스트 시인선 첫선…1·2권 출간
박은정·권혁웅·김이듬 시인 기획
박 시인 “시단 유행에 소외된 시인 발굴
독자와 만날 기회 넓혀주고 싶어”

이미지 확대
1인 출판사 타이피스트를 운영하는 박은정 시인은 ‘타이피스트 시인선’을 선보이며 대형 출판사나 젊은 시인 위주의 시인선 지형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선’을 소개하고 싶다고 했다. 타이피스트 제공
1인 출판사 타이피스트를 운영하는 박은정 시인은 ‘타이피스트 시인선’을 선보이며 대형 출판사나 젊은 시인 위주의 시인선 지형에 익숙한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선’을 소개하고 싶다고 했다.
타이피스트 제공
“대형 출판사나 젊은 시인들 위주로 시인선의 유행이 흘러가는 와중에 좋은 시를 쓰면서도 소외되고 기회를 얻지 못하는 시인들이 많습니다. 첫 시집만 주목받고 이후에는 잊혀지는 시인들도 많고요. 이런 문단 흐름에서 독자들이 ‘이런 시도 있구나’하고 밝은 눈으로 읽어주는 시인선으로, 문단의 ‘새로운 시선’이 되었으면 합니다.”

박은정(49) 시인이 직접 운영하는 1인 출판사 타이피스트가 대형 문학 출판사 위주로 꾸려지는 시인선 지형에 새로운 시인선을 들여보낸다. 박 시인이 권혁웅(57), 김이듬(55) 시인과 함께 ‘크리틱스’라는 모임을 꾸려 기획해나가는 타이피스트 시인선이다. 출판사 측은 권 시인의 새 시집 ‘세계문학전집’을 1권으로, 박 시인의 새 시집 ‘아사코의 거짓말’을 2권으로 최근 나란히 펴냈다.

이미지 확대


박 시인은 21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대형 출판사 시집에 독자들의 관심이 주로 모이며 좋은 작품을 쓰면서도 대중적인 인지도가 없어 외면받는 시인들의 현실이 안타까웠다”며 “같이 시를 쓰는 시인으로서 그들에게도 독자와 만날 기회를 넓혀주고 싶었고 그게 한국 문학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 생각해 시인선을 시작했다”고 출범 배경을 설명했다.

연간 6~7권의 시집 출간을 계획하고 있는 타이피스트 시인선은 이미 다음 주자들도 예고해 놓았다. 조성래, 김다연, 김이듬, 양안다, 이기리, 이현호, 황성희 시인의 새 시집을 소개할 예정이다. 신인과 중견을 두루 아우르고, 등단을 하지 않았다 해도 투고로 받은 작품이 우수하면 시집을 내준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가을부터 시인선을 준비해왔다는 박 시인은 “현재까지 원고를 보낸 이들이 100여명을 훌쩍 넘을 정도로 쌓인 원고가 많다”고 했다.

다른 시인선과 차별화되는 장치도 여럿 뒀다. 손 안에 쉽게 감싸 쥘 수 있는 작은 판형(가로 120㎝, 세로 190㎝ 크기)에 매 시집 표지마다 각 시인의 작품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와 색을 다채롭게 입혀갈 계획이다. 기존 시인선 시집들이 대부분 시 뒤에 평론가들의 해설을 실어왔다면, 타이피스트 시인선은 해당 시인이 직접 고민해 쓴 시론을 작품 뒤에 덧붙인다.

10년 만에 새 시집을 낸 권 시인은 시에 대해 “우주에는 우주만 있을 뿐, ‘너머’는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시란 그런 불가능한 ‘너머’의 이름”이라고 썼다. 그에게 시의 언어란 “말을 배우지 않은 아이들의 웅얼거림과 말을 잃어가는 노인의 웅얼거림”이다.

피아노를 치며 경험했던 감정들이 시 쓰기와도 이어져 있음을 발견한 박 시인은 두 행위를 이렇게 말한다. “침묵과 공백을 음표와 문장으로 채우고 하나의 세계를 그려나가는 일. 어떤 이에겐 삶 속에 도사린 고통과 두려움에 대항하여 마음의 맨얼굴을 그려 내는 일.”
이미지 확대
‘애인은 토막 난 순대처럼 운다’(2013) 이후 10년만에 여섯 번째 시집 ‘세계문학전집’을 선보인 권혁웅 시인.
‘애인은 토막 난 순대처럼 운다’(2013) 이후 10년만에 여섯 번째 시집 ‘세계문학전집’을 선보인 권혁웅 시인.
정서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