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피해 문화예술인 지원제도 한눈에 ‘아트누리’ 개설

코로나19 피해 문화예술인 지원제도 한눈에 ‘아트누리’ 개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5-15 10:26
업데이트 2020-05-15 1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술인·예술단체·공연장 등 대상별 대책, 다른 부처, 지자체 대책 목록도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예술인과 예술단체들이 정부와 지자체 지원 제도를 한 눈에 찾아볼 수 있는 전용 홈페이지 ’아트누리(artnuri.or.kr 또는 아트누리.kr·사진)’를 15일 공개했다.

홈페이지에서는 문체부가 예술인·예술단체·공연장 등 대상별로 지원하는 제도뿐만 아니라 다른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실시하고 있는 문화예술계 지원 대책 목록을 정리해 제공한다. 지역별·대상별로 상세 검색할 수 있는 ‘나에게 맞는 지원 찾아보기’를 통해 개인별 맞춤형 지원 대책을 조회할 수도 있다.

문체부의 올해 코로나19 피해 예술계 지원금은 모두 968억 4000만원이다. 올해 문예진흥기금 예산 2670억원 중 516억 2000만원을 책정했고, 452억 2000만원을 기존 예산에서 용도 변경하거나 추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입은 문화예술인을 위해 예술경영지원센터 안에 ‘코로나19 전담 상담창구’를 만들어 지난 2월 20일부터 전화와 온라인으로 상담을 진행했다. 그러나 정부와 지자체 등에서 지원제도를 수시로 발표하는 데다가, 운영기관도 여러 곳이어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문체부 측은 “이번 홈페이지를 통해 예술인과 예술단체들이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됐다”면서 “기관별로 분산된 예술지원 사업 통합 누리집 ‘예술도움(가칭)’도 개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연말쯤 개설하는 예술도움은 사용자들의 관심 정보를 기반으로 적합한 사업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