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전 그 날, 광주 시민군은 왜 전남도청에 남아 있었나

40년 전 그 날, 광주 시민군은 왜 전남도청에 남아 있었나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5-11 19:15
업데이트 2020-05-11 19: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1일 유튜브로 진행된 ‘꽃잎처럼’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정도상 작가가 집필 계기를 밝히고 있다. 다산책방 제공
11일 유튜브로 진행된 ‘꽃잎처럼’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정도상 작가가 집필 계기를 밝히고 있다.
다산책방 제공
“전남도청에서 시민군들이 계엄군을 맞이할 때도 죽을 줄 뻔히 알면서도 남아 있었어요. 백기를 들고 계엄군을 맞이하는 것과 한 사람이라도 남아 피에 젖은 깃발을 들고 맞이하는 것의 간극은 어디서 올까 생각했습니다.”

33년 전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그린 ‘십오방 이야기’로 데뷔했던 정도상(60) 작가가 다시 펜대를 잡고 장편소설 ‘꽃잎처럼’(다산책방)을 낸 이유다. 소설은 5·18 최후 항전이 있었던 1980년 5월 27일 새벽, 40년 만에 그날의 전남도청을 그렸다.

11일 유튜브로 진행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작가는 방영 중인 tvN 드라마 ‘화양연화’ 속 대사를 언급하며 “소름이 돋았다”고 말했다. “우리는 질 것이 뻔하다. 왜 싸우느냐면, 우리는 쉽게 지지 않는다”는 말. 그에겐 5·18도 그랬다.

그가 다시 ‘광주’를 떠올리게 된 데는 2018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아시아문학페스티벌에 총괄집행위원장으로 참여한 경험이 컸다. 아시아문화전당 바로 앞에 있는 전남도청을 바라보면서 그의 머릿속엔 ‘왜’라는 질문이 떠나지 않았다.

‘꽃잎처럼’은 26일 오후 7시부터 다음날인 27일 오전 5시까지를 시간 단위로 쪼갰다. 도청에 남은 스물한 살 명수는 투쟁위원회의 대변인 상우의 경호원을 자처하는 인물로, 배우지 못한 설움을 극복하기 위해 야학 ‘들불’에 들어갔던 청년이다. 명수와 광주 사이에는 일종의 평행 관계가 성립한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 ‘가정과 사회에서 고립’돼 “고아 의식으로 가득 찬 삶”을 산 명수와 계엄군에 의해 포위돼 “대한민국의 고아”가 된 광주. 소설 말미에 화해의 기회를 갖는 명수를 그리며 작가는 광주가 다른 도시와 같은 보편성을 품길 희망했다. 주인공 명수를 제외하고는 등장인물 대부분이 실존 인물에 바탕을 뒀다.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부이사장인 작가는 지난 21대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다. 현실 정치에 적극 참여 중인 그는 1980년 광주가 오늘날 던지는 시사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5·18이 없었다면 대한민국 역사에서 6월 항쟁도, 노동자 대투쟁도, 오늘날 촛불혁명까지도 불가능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어 덧붙였다. “5·18 지도부는 민주 정부 수립을 투쟁의 최종 목표로 삼았어요. ‘진보냐, 보수냐’처럼 이분법으로 가르는 게 아니라 서로를 배려해 분단체제를 극복하는 민주 시민 의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