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 漢詩 한눈에…375수 첫 해설서

고산 윤선도 漢詩 한눈에…375수 첫 해설서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5-11 17:46
업데이트 2015-05-11 17: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용창선 시조시인·양현승 교수 합작

고산 윤선도가 남긴 한시 전수에 대한 해설서가 최초로 나왔다. ‘고산 윤선도 한시의 역주와 해설 1’(월인)이다. 2015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용창선 시조시인과 양현승 국민대 국문과 교수의 합작품이다. 둘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발췌해서 해설을 단 건 있어도 고산의 모든 한시에 대해 해설을 쓴 건 처음”이라고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고산은 14세 때부터 85세를 일기로 별세할 때까지 한시 375수를 남겼다. 문집 ‘고산유고’(孤山遺稿)에 수록돼 있다. 이번에 나온 1권엔 14세부터 과거를 통해 정식으로 벼슬길에 오르기 전인 42세까지 지은 150수가 실렸다. 2권은 43~65세에 지은 126수를 다룬다. 별시 초시에 장원 급제해 왕자(인평·봉림대군)의 사부를 지내다 보길도에 은거하며 ‘어부사시사’ 40수를 창작하던 시기다. 3권은 제자였던 봉림대군(효종)이 임금이 된 이후 성균관사예와 동부승지를 제수받아 관직 생활을 하던 때부터 보길도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의 한시 97수와 ‘고산유고’에 실린 상소문·서간문 등 산문을 번역, 해설한다. 용 시인은 “3권까지 작업을 모두 마쳤다”며 “고산의 생애와 시상의 단서를 두루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번역·주석·해설을 통해 독자들의 감상을 도왔다. 해설엔 작가 연보를 통해 작가가 처한 창작 당시의 시대 상황과 현실, 가족 관계, 교우 관계, 조정의 정국 현황 등을 상세하게 기록했다. 주석은 원문에 나오는 지명(地名)·인명(人名)·전고(典故)를 중심으로 출전을 밝히고, 난해한 어구는 본문의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의미를 풀었다.

용 시인은 2004년 윤선도 한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윤선도의 한시와 보길도 시원연구’라는 책도 냈다. 그는 “대학원 다닐 때 풍자문학 논문을 쓰기 위해 도서관에서 자료를 찾던 중 우연히 윤선도의 어부사시사 관련 논문을 봤는데 보길도에 한 번도 오지 않은 사람이 썼다”며 “이론과 현실이 맞지 않는 걸 보고 윤선도 관련 연구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시인의 고향은 어부사시사의 무대인 전남 완도다.

한시 전수 해설은 1년 전 대학 선배인 양 교수와 시작했다. 양 교수는 “고산의 한시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했다. “조선시대에도 요즘처럼 당동벌이(黨同伐異)의 당파 싸움이 심각했다. 하지만 정의를 왜곡시키는 의롭지 못한 일에는 호되게 질책했고 자신이 연루된 일에는 과감하게 물러날 수 있는 용기를 갖고 있었다. 오늘날 정치인들이나 우리들이 꼭 배워야 할 자세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5-12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