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책세상] 소피 퐁타넬 ‘혼자 자는 기술’

[지구촌 책세상] 소피 퐁타넬 ‘혼자 자는 기술’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쎄 ‘그것’ 없이도 잘 자고 잘 지냈다니까

바야흐로 ‘리비도’의 시대다. ‘성’(性·섹스)이라는 단어를 보거나 듣거나 말하지 않고 하루를 넘기는 게 하루 세 끼를 모두 금식하는 것보다 어려운 세상이 됐다.

국립국어원 같은 지엄한 기관에 이 불온한 단어를 즉각 소환해 ‘그것’이라는 은근미 넘치는 단어로 갱생해 달라고 민원이라도 넣고 싶다. 오, 신이시여. 정녕 인간은 이토록 천박할 수밖에 없다는 말입니까.

프랑스의 대표적 감성 작가이자 패션 잡지 ‘엘르’의 프랑스판 편집장인 소피 퐁타넬(50)은 이 저주받은 시대를 역주행해 감히 ‘그것’과의 전면전을 선포했던 여성이다. 그녀는 27세 때부터 무려 12년간이나 그것을 끊었고, 그 전말을 담은 자서전을 2011년 프랑스에서 ‘욕망’(L’Envie)이라는 제목으로 펴내 큰 논란을 일으켰다. 그 책이 2년 만에 대서양을 건너와 지난달 미국에서 ‘혼자 자는 기술’(The Art of Sleeping Alone·사이먼&셔스터)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됐다.

‘엄마, 그땐 내가 미안했어’ 등의 책으로 한국 독자들에게도 알려져 있는 퐁타넬이 12년간 그것을 끊은 것은 즉흥적 선택이었다.

27세 때 그녀는 친구들과 스키장에 놀러 갔고 그곳에서 섹시한 스키장 주인과 급속히 가까워졌다. 그런데 그와의 그것을 상상하는 순간 왠지 모를 거부감이 몸을 조여 왔다. 그녀는 그를 외면하고 호텔로 돌아왔다. 사방이 눈으로 덮여 있는 호텔의 방 안에 홀로 누웠을 때 마치 에덴동산에 와 있는 안락함이 느껴졌고, 이후 12년간의 ‘금욕생활’에 돌입한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녀는 정서적 친밀감이 결여된 남자들의 ‘그것을 위한 그것’에 지쳐 있었다.

하지만 ‘에로틱의 나라’ 프랑스에서 그것과의 절연은 돌연변이나 다름없었다. “나 사실 그것 끊었어”라고 공표했을 때 그녀의 친구들은 경악했고, 앞다퉈 남자를 소개해 주겠다고 나섰다. 하지만 퐁타넬은 그것 없는 삶에 만족했다. 사람들이 그녀에게 “얼굴에서 광채가 날 정도로 예뻐졌다”면서 “사랑에 빠졌느냐”고 물어올 정도였다. 그것을 끊으니 몸이 예민해졌다. 욕조에서 물의 감촉을 느낄 때, 베개를 안고 잘 때도 관능이 일었다.

관능에 몹시 예민해진 이 여전사는 결국 39세 때 만난 한 남성에게 굴복했다. 연애는 짧았지만 만족스러웠다. 퐁타넬이 밝힌 환속(還俗)의 변이다. “영원한 친밀감과 ‘그것’이 반드시 패키지일 필요는 없다. 그것은 그것으로 족하다.”

그나저나 그것 끊었다는 책 소개하려다가 그것 얘기를 너무 많이 하고 말았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9-07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