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여행자엔 일상탈출 원주민엔 일상파괴

‘관광’ 여행자엔 일상탈출 원주민엔 일상파괴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행을 팝니다/엘리자베스 베커 지음/유영훈 옮김 명랑한지성/528쪽/2만 5000원

라오스 방비엥의 한적한 시골길. 키 작은 원주민 소녀가 들것을 이고 흙길을 걷고 있다. 물씬 풍겨오는 토속적인 분위기에 홀려 무의식중에 카메라 셔터를 누른다. 힐끗 돌아본 소녀가 순박한 웃음을 짓는다. 적당히 포즈를 취하는 센스도 잊지 않는다. 이어 손을 내민다. 돈을 달라는 뜻이다. 순간 머리에서 벼락이 친다. 순박하다던 라오스의 아이들마저?

우리에게 1달러는 크지 않은 돈이다. 하지만 라오스에서, 더구나 어린 소녀에겐 큰돈이다. 소녀의 표정만 생각하면 선뜻 내줄 참이다. 한데 손은 머뭇댄다. 1달러가 이후 소녀의 생활양식을 통째 바꿀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가족들도 힘들여 농사 짓느니 소녀를 통해 돈을 버는 게 훨씬 쉽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자,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 건가.

책이 묻고 있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다. 뉴욕타임스 기자 출신인 저자는 일반 여행서와는 달리 산업적 측면에서 관광 분야의 어두운 면을 들춰낸다. 개인적 체험일 뿐이라 여겼던 여행과 관광이 그 나라의 환경과 문화, 경제 등에 대단히 크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지난해 해외여행은 전 세계를 통틀어 10억회에 이를 정도로 일상이 됐다. 하지만 그 일상이 다른 이의 일상을 휘젓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는 자각을 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하다.

저자는 여행과 관광의 힘을 믿는다. “관광은 부자 나라의 부를 가난한 나라로 옮겨주는 자발적 방법”이자 “현대 세계의 가장 좋은 재분배 수단”이기 때문이다. 2007년 기준 2억 35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냈고, 경제규모는 7조 달러에 이르렀다. 한데 일부 국가에선 관광의 힘이 전혀 다른 양상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관광산업을 통해 흘러 들어온 돈이 지배층만 배불리는 비리의 온상이 되거나, 개발을 위해 주민들의 터전과 사유재산을 강제로 빼앗는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과개발을 자행해 유적지와 문화재 등 역사를 관광에 팔아치우는 재앙도 종종 빚어진다.

그렇다면 관광은 폐기해야 하는 병폐일까. 물론 아니다. 저자는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관광의 가능성을 프랑스와 잠비아, 코스타리카 등에서 찾는다.

이들이 편 관광정책은 각기 달랐지만 공통점이 있다. 자국이 가진 문화의 특색과 개성을 지우지 않고 자국민의 삶의 가치를 최우선시했다는 거다. 이는 어느 나라건 자신이 가진 진짜 모습 그리고 획일화되지 않은 속살을 보여주되, 자신의 것을 존중하고 유지하겠다는 관광 철학을 가지라는 저자의 충고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3-09-07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