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르 고향서 만난 시간의 향기

타고르 고향서 만난 시간의 향기

입력 2011-07-30 00:00
업데이트 2011-07-30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가 사랑한 1초들】 곽재구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인생은 떠날 때 아름답다고 했다. 삶이 지치면, 연애하던 연인과 헤어지면 어디론가 떠나고 싶어진다. 거기에서 굳이 ‘뭔가 찾을 일’도 없겠지만 마음의 무게를 가벼이 하려는 몸부림일 것이다.

2009년 9월 시인 곽재구는 순천대학교 문예창작과에서의 시 강의를 멈추고 타고르의 고향인 산티니케탄으로 떠난다. 여기에서 540일 동안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사진을 찍고 여행을 한다. 왜 그랬을까.

1981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사평역에서’의 당선을 통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시인 곽재구는 ‘서울 세노야’ ‘참 맑은 물살’ ‘꽃보다 먼저 마음을 주었네’ ‘포구기행’ 등으로 독자들과 친하게 가까이했다. 그가 9년 만에 에세이집 ‘우리가 사랑한 1초들’(문학동네 펴냄)을 펴냈다.

여기에서 그는 “여행의 시작은 타고르의 시편을 찾아가는 것이었다. 벵골 사람들 속에 함께 살면서 타고르의 모국어의 벵골어를 익혀 타고르의 시편들을 한국어로 직접 번역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타고르의 꿈과 이상이 고스란히 남은 산티니케탄에서 벵골 사람들과 살아가는 것은 기쁨 이상이었다.”고 덧붙인다.

‘우리가 사랑한 1초들’은 산티니케탄에서 만난 시간의 향기를 노래하고 있다.

아울러 책의 출간에 대한 아무런 의식도 없이 ‘필연적으로 쓰여진’ 글들을 묶었다고 시인은 토로한다. 그저 ‘오래 묵힌 마음의 여행’이라는 것이다. 책의 첫 대목부터 인상 깊다. ‘하루 24시간 8만 6400초를 기억하고 싶었던 시간들이 있었습니다. 스무 살 때였지요. 내게 다가오는 8만 6400초의 모든 1초들을 다 기억하고 싶었습니다. 어떤 1초는 무슨 빛깔의 몸을 지녔는지, 어떤 1초는 무슨 음악을 좋아하는지, 어떤 1초는 지금 누구와 사랑에 빠졌는지, 어떤 1초는 왜 깊은 한숨을 쉬는지 다 느끼고 기억하고 싶었지요. 그런 다음에 좋은 시를 쓸 수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시인으로서의 인생 고백 글도 눈길을 끈다. 1970년대 중반이었고 삶의 현실이 척박했고, 정치적 피폐함이 극에 이른 시간들 속에서 읽는 타고르의 시편들은 솜사탕 같았고 작은 천국이라고 말한다.

시인이 묘사하는 산티니케탄은 우리나라의 1960년대 농촌과 비슷한 풍경이다. 초가집들, 뙤약볕 아래 논에서 일하는 농부들, 물을 긷는 아낙네, 흙먼지 이는 시골길 위로 자전거 타고 가는 아가씨 등등. 시인은 이를 ‘별’이라고 표현한다. 하여 그 별과의 인연을 씨날로 흥미진진하게 엮어 나간다. 바람과 나무와 꽃향기가 폴폴하다. 1만 3800원.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7-30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