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와 일본, 그리고 독도…모든 사태의 원인은?

연평도와 일본, 그리고 독도…모든 사태의 원인은?

입력 2011-02-28 00:00
업데이트 2011-02-28 1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일 군사협정 문제에 섣불리 접근했다간 독도를 일본에 빼앗기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홍성룡 독도향우회장은 최근 우리마당 통일문화연구소가 펴낸 ’이제는 평화협정을 체결하여야 한다‘는 책에 기고한 글에서 연평도 포격사건을 계기로 체결 움직임이 일고 있는 한·일 군사협정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한·일 군사협정을 비롯한 한·미·일의 군사적 블록 강화는 중국·러시아·북한에 군사적 동맹에 대한 압박을 가해 한반도 평화,특히 동해의 안정성을 심각히 훼손해 자칫 독도를 잃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홍 회장은 “한·일 군사협정이 맺어지면 동해의 전략적 요충지인 독도가 한·미·일의 군사기지로 이용될 가능성이 많다.그렇게 되면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 해역에 일본 군함이 자유롭게 왕래하면서 군사력이 월등한 일본의 침탈 야욕에 빌미를 제공해 결국 독도를 빼앗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홍 회장은 통일은 우리 민족이 강대국 틈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이며,남북 대화가 중단된 사이 북한이 중국에 정치적으로 편입되거나 경제적으로 종속되지 않도록 지체 없이 대화를 재개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10년 간 북한에 지원한 2조8천억원과 통일 이전에 서독이 동독에 18년 동안 58조원을 지원한 것을 비교하면서 남북 간 교류와 접촉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불교인권위원회 위원장인 진관 스님은 이 책에서 분단을 암에 비유해 “우리 민족이 무서운 암에 걸려 신음하고 있는 지 60년이 넘었다”면서 “국민,민중들이 민족의 이름으로 역사를 바르게 보는 눈이 열려야 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장희 한국외국어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연평도 포격사건을 계기로 장기적 평화구축 차원에서 북방한계선(NLL) 문제를 비롯한 서해5도 수역 문제의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며 2007년 제2차 남북정상선언에서 합의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의 실천을 촉구했다.

 이 책은 ’제2의 연평도 사태‘를 막고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자는 뜻에서 각계 인사 33명의 글을 실었으며,강종일 한반도중립화연구소장과 이상기 전 한국기자협회장,이종걸·유선호 의원 등의 글도 실렸다.

 도서출판 우리마당.262쪽.2만원.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