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아픔 새겨진 책벌레 ‘독서일기’

시대 아픔 새겨진 책벌레 ‘독서일기’

입력 2010-08-28 00:00
업데이트 2010-08-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28일도 책을 읽었다】최성각 지음 동녘 펴냄

“나는 단지 글자를 읽었을 뿐인데, 글자는 늘 내 마음과 머릿속을 세차게 휘젓곤 했다. 책은 피로에 지친 나를 덮어주는 따뜻한 담요였고, 세찬 바람을 막아주는 천막이었고, 아주 가끔은 모닥불이었고, 때로는 등불이기도 했으며, 언제나 의지할 기둥이었으며, 책 속에 빠져 있던 시간은 혼자만의 잔치판이기도 했다.”

‘나는 오늘도 책을 읽었다’(최성각 지음, 동녘 펴냄)는 ‘책벌레’를 자처하는 생태주의 작가 최성각(55)의 독서 잡설이다. 최성각은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으며 20대에는 탄광촌에서 교사로 일했다. 시민운동의 하나로 ‘환경책 큰잔치’를 기획했으며 2003년부터 고향이기도 한 강원도 산골짜기에 ‘풀꽃 평화연구소’를 개설해 거위를 키우면서 어설픈 시골 생활을 하고 있다.

책에 대한 이야기를 쓴 서평집은 많이 있지만 최성각의 책은 확연히 다르다. 단순히 책 속의 이야기를 담은 것이 아니라 시대의 아픔이 아로새겨져 있는 데다 이것이 저자의 삶과 어우러져 큰 울림을 준다. 활발하고 잘 쓰인 문학에 관한 산문집이자 우리 시대의 삶이 녹아 있는 사회비평집이다.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됐다. 1부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그저 자취방에 엎드려 흐느껴 울” 수밖에 없었던 무기력한 저자의 청춘을 지탱해준 책으로 엮어졌다. 1부 제목도 그래서 ‘쓸쓸한 젊은 날, 겨우 책으로 버텼다’이다. 헨리 조지의 ‘빈곤에서 벗어나는 길’, 월북작가 이태준의 ‘밤길’, 함석헌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 등을 소개한다.

2부 ‘시대가 아프니 나도 아프다’를 통해서는 국가권력과 자본권력을 비판한다. 4대강을 개발하겠다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이 나라 산천은 당신 것이 아니다.”라고 크게 꾸짖고 삼성에는 “범죄 집단”이라고 거침없이 질타한다. 늘 부자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행복은 경제 성장과 결코 일치하지 않는다.”고 일깨워주기도 한다.

3부 ‘우리에겐 바로잡을 시간밖에 없다’에서는 15년간 환경운동, 생태운동을 해 온 그가 환경과 생태에 관한 좋은 책을 엄선해 실었다. 능지처참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 허균은 “만 권 서책 사이의 좀벌레가 되고 싶다.”고 했단다. 책을 읽고 뜨거운 눈물을 흘려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최성각의 ‘바른말’이 무척 재미있을 것이다. 1만 5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8-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