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험·환상 즐기다보니 마음의 문 활짝

모험·환상 즐기다보니 마음의 문 활짝

입력 2010-08-05 00:00
업데이트 2010-08-0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미원 장편동화 ‘오렌지별에서 온 아이’

모험과 상상은 아이들을 자라게 한다. 낯선 곳에서 구르고 부딪치면서 세상을 배워간다. 머릿속에서 펴는 상상의 날개는 하나의 질문에 여러 개의 답이 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유연함을 갖게 한다. 이른 나이부터 공부에 찌든 아이들은 이 두 가지를 경험할 기회를 빼앗기고 아이들의 뇌는 자연스레 굳어갔다.

이미지 확대
동화작가 류미원(48)이 5년간 집필한 장편동화 ‘오렌지별에서 온 아이’(창비 펴냄)는 이 두 가지를 맛보게 한다.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며 펼쳐지는 흥미진진한 모험담은 아이들의 뇌를 왕성하게 움직일 만하다.

준호, 원갑, 명후, 은지, 태웅 등 다섯 아이들은 산속에서 열리는 여름캠프에 참가한다. 아이들은 ‘티립스’라는 이상야릇한 소년을 만나는데 몰골은 초라하기 그지없고 덜 떨어져 보인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자신이 외계인이란다. “소통을 위해 초록별 지구에 왔다.” “죽음은 또 다른 여행”이라는 생뚱맞은 말은 아이들을 더욱 알쏭달쏭하게 만든다.

긴가민가했던 아이들은 마음이 통하는 순간 머리에서 꽃을 피우는 티립스를 보게 되고, 그에게 ‘블랙홀 상상’을 배워 자연의 목소리를 들으며 과거의 상처와도 대면하면서 티립스를 믿게 된다. 이제 숲속의 나무, 인간이 놓은 덫에 걸려 신음하는 반달곰의 목소리를 듣게 된 아이들. 그들의 고통에 아파하며 반달곰의 쓸개를 노리는 밀렵꾼들을 무섭지만 포기하지 않고 뒤쫓을 만큼 불쑥 자란다.

나쁜 어른들에 맞서는 아이들의 고군분투 모험담과 외계에서 온 생명체와 친구가 된다는 설정은 마르지 않는 재미와 호기심을 준다. 아이들은 손에 땀을 쥐며 읽어 내려가면서 정의란 무엇인지, 남과 소통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자연스레 깨닫게 된다.

작가는 지은이의 말에서 스스로를 지구에 오래전에 뿌리내린 외계인으로 규정하고 지구인들이 다시 마음의 문을 열기를 바란다고 썼다. 공부 경쟁으로 기운이 빠진 요즘 아이들은 친구는 물론 자기자신과도 제대로 이야기하는 법을 잃어버렸다. 아이들 앞에 나타난 외계소년 티립스의 이름은 이러한 바람을 담고 있기도 하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0-08-05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