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여행, 구경꾼 아닌 현지인 되어라

공정여행, 구경꾼 아닌 현지인 되어라

입력 2010-05-08 00:00
업데이트 2010-05-08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희망을 찾아 떠나다】 김이경·주세운 지음 소나무 펴냄

세계 곳곳을 누비는 여행자들이 넘쳐나는 세상이다. 그만큼 여행책 또한 넘쳐난다. 어디에 가면 맛난 것을 먹을 수 있는지, 어느 잠자리가 가격대별 만족도가 높은지, 어디로 가면 볼 만한 것들이 많은지 상세하고도 풍부하게 알려준다. 발품을 팔아 기록한 소중한 정보들이다.

하지만 그 이상을 뛰어넘지는 못한다. 그렇다면 이 책을 보자. ‘희망을 찾아 떠나다’(김이경·주세운 지음, 소나무 펴냄)는 요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공정여행’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정확히 가리키고 있다.

20대 초반의 세 젊은이(한 명은 책 작업에 함께하지 못했다.)가 방글라데시, 네팔, 인도 세 나라를 둘러보고 온다. 시쳇말로 ‘스펙 쌓기’ 여행은 아니다. 이들은 떠나기 전에 자신의 관심사와 여행 목표를 분명히 설정한 뒤 수십 권의 책을 읽고, 현지에서 만나야 할 사람, 가야 할 곳을 정한다.

예컨대 방글라데시에서는 가난한 이들에게 희망의 씨앗이 되어 주는 마이크로 크레디트 은행인 그라민은행을 체험한다. 네팔로 가서는 아동노동이 이뤄지는 공장을 찾아 이들의 노동력 착취로 만들어진 제품 불매 및 공정무역 제품 이용을 다시 한 번 다짐한다. 인도에서는 ‘볼런투어리즘(볼런티어+투어·자원봉사활동 여행)’의 생생한 사례를 접한다.

자못 심각, 진지 모드로 빠지기 쉬워 보이지만 ‘구경꾼이 아닌 현지인 되기’가 주는 재미가 쏠쏠하다. 그들의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함께하는 것을 중심으로 동정의 시선보다는 연대의 뜻을 실천하는 것이다. 물론 공정여행자가 건네는 우호적인 시선은 자칫 연민과 연대 사이에서 갈팡질팡할 수도 있다.

그렇더라도 젊은 치기로 환상만 안고 오는 여행과는 분명히 궤를 달리한다. 그라민은행을 찾아서도 굳이 창립자이자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유누스를 만나기보다는 시골 지점장 얘기를 듣고, 소액 대출을 통해 자립을 꿈꾸는 여성들을 만났다. 그리고 빈곤한 이들에게 오로지 돈만이 대안이고, 희망인가에 대해서도 고민의 영역을 넓힌다. 1만 4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5-08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