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국영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원들은 장국영을 그리워하며 홍콩을 찾았다가 민주화 운동에 휘말리게 된다. 국립정동극장 제공
한때 홍콩은 동경의 대상이자 낭만의 상징과도 같은 장소였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홍콩 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전설적인 배우 장국영(1956~2003)을 빼놓을 수 없다. 깊고 우수에 젖은 눈빛으로 남녀 모두의 마음을 흔들었던 그는 거짓말 같게도 만우절인 4월 1일 죽었다. 여전히 많은 이가 그게 거짓이었으면 하고 바라는 이유일 테다.
여기 장국영을 애타게 그리워하는 이들이 있다. 모임 이름도 그래서 ‘장국영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요약해서 ‘장사모’다.
27일 막을 내린 ‘굿모닝 홍콩’은 장사모 회원들이 그 옛날 장국영의 추억이 서린 홍콩을 찾았다가 민주화 운동이 거센 시기의 홍콩을 만나는 일을 그린 작품이다. 장사모 회원들에겐 홍콩이 낭만 가득한 추억의 장소인 것과 달리 민주주의를 갈망하는 최근의 홍콩은 중국에 반환된 후 중국화되는 것에 반발해 시민들과 정부의 대립이 살벌한 도시다.
장사모 회원들이 추억하는 낭만 가득한 홍콩은 민주화 시위로 격렬한 투쟁의 현장이 됐다. 국립정동극장 제공
연극은 그래서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한국에서 온 장사모 회원들이 홍콩 곳곳에서 장국영의 영화 장면을 재현하는 장면과 홍콩 청년들이 자유를 갈망하며 민주주의 운동을 벌이는 장면이 교차한다.
영화 ‘영웅본색2’의 마지막 장면으로 시작하는데 장난감 총을 꺼내는 이들 앞에 경찰이 나타나 분위기가 험악해진다. 하필 경찰들도 민주화 시위 때문에 신경이 곤두선 상태. 영화를 재현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보며 객석에서 폭소가 터져 나오다가 마주하는 이 묘한 장면은 작품의 전체 내용을 암시하는 장치다.
외국인인 장사모 회원들은 시위와는 무관하고 싶지만 이들의 뜻대로 되지 않는다. 나이키 유튜브 채널 운영자인 기찬이 희귀품인 ‘87년 나이키 에어조던2’를 사기 위해 장사모의 홍콩 여행에 합류했다가 그의 신발이 시위대의 손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시위대는 신발 주인을 찾아주려하고 장사모 회원들은 자신들의 일을 하다가도 기찬과 함께 시위에 휘말려 들어간다.
뉴스로만 접했던 홍콩의 ‘우산혁명’은 연극에서 유혈이 낭자한 절규로 나타나 자유를 향한 홍콩 시민들의 갈망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권력의 폭압에 의해 인간과 인간이 서로에게 잔인해지고 살벌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도 인간미를 드러내는 장면들은 사람 사는 세상에 무엇이 중요한지 묵직하게 일깨운다. 엮이고 싶지 않았지만 결국 시위대와 함께하게 된 장사모 회원들도, “우리가 뭘 잘못했어”라고 외치는 시위대를 지켜보는 관객들도 남의 일 같던 홍콩의 절박함을 가깝게 들여다보게 된다.
배우들이 우스꽝스럽게 ‘천녀유혼’ 복장을 하고 영화 장면을 재현하는 등 ‘굿모닝 홍콩’은 곳곳에 유머가 가득하다. 국립정동극장 제공
무거운 주제를 다뤘지만 중간에 ‘천녀유혼’을 웃기게 재현한 장면 등 코믹한 요소가 곳곳에 있어 웃음이 가득 번진다. 그러면서도 피 묻은 나이키 신발을 옷으로 닦아서 건네주는 선한 시민들을 보며 뭉클한 감동도 놓지 않는다. 연극적으로 ‘단짠’(단맛과 짠만)의 조합이 적절하고 탁월하게 이뤄진 작품이라 흠뻑 빠져들게 되는 매력이 있다. 특히나 홍콩영화의 전성기를 기억하는 이라면 아련한 추억에 젖어 드는 동시에 오늘날의 홍콩을 기억하게 하는 작품이다.
장국영을 추억하기 위해 홍콩에 왔다는 회원들에게 시위대가 BTS의 ‘불타오르네’를 부르며 환영하고, 시위대 학생이 장국영의 콘서트 멘트로 운을 띄우며 ‘월량대표아적심’을 함께 부르는 장면을 통해 국적과 세대를 넘는 연대의 힘을 보여준다. 2024년의 홍콩은 언제 그런 시위가 있었냐는 듯 평화롭지만 ‘굿모닝 홍콩’은 그 평화 아래 서린, 잊지 말아야 할 아픔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