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범석 탄생 100주년 ‘활화산’
70년대 정책 홍보용 관변 연극
각색 없이 원작 그대로 재소환
구습에 맞서는 ‘1년차 며느리’
현재 우리 사회에도 울림 전해
1974년 초연 이래 국립극단이 50년 만에 무대에 올린 극작가 차범석의 ‘활화산’ 공연 장면.
국립극단 제공
국립극단 제공
1974년 국립극장에서 초연된 ‘활화산’은 실제 새마을운동 성공 사례를 소재로 했다. 1960년대 말 경북 벽촌 마을을 배경으로 오래전 쇠락했지만 양반이라는 허울에 갇혀 구습을 고집하는 시부모, 온갖 선거에 출마했다 낙선하기를 일삼는 철부지 남편을 둔 정숙이 손수 돼지를 키우고 논밭을 일궈 집안과 마을에 새바람을 불러일으키는 이야기다.
국립극단은 왜 ‘활화산’을 50년 만에 다시 소환했을까. 연극사에서도 제대로 조명받지 않은 관변 연극을 이 시점에 올리는 이유가 뭘까. 꼬리를 물던 의문은 공연 시작과 함께 놀라움으로 변했다. 각색과 윤색 없이 원작을 그대로 따랐지만 예상을 깨는 무대 언어와 장치들로 1970년대를 넘어 현재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와 고민할 지점들까지 영리하게 포착해 냈다.
진취적이고 주체적인 여성 정숙이 시대착오적인 가부장제와 구습, 부정부패에 맞서 새마을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원작의 서사는 지금 봐도 울림이 있다. 시집온 지 1년밖에 안 된 며느리가 시어머니와 남편에게 당당히 입바른 소리를 하고, 작업복 차림으로 돼지 밥을 나르는 모습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필요했던 당시 시대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꽤 진보적이다.
연극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들어간다. 가문을 일으킬 전권을 위임받고 돼지 공동사육장을 세워 마을 사람들을 참여시키는 과정에서 정숙은 점차 권력을 획득한 지배자로 변하는 모습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극의 마지막에 정숙이 “우리는 죽은 화산이 아니라 살아 있는 화산”이라며 열변을 토할 때 기이한 광기가 무대를 장악하는 장면은 압권이다. 극작가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원작에 내재된 다양한 담론과 모순을 끄집어내 새롭게 변주함으로써 왜 지금 우리가 ‘활화산’을 봐야 하는지를 증명한다.
사회적 메시지를 기발한 상상력으로 비트는 작품들을 선보여 온 윤한솔 연출의 장기는 이번에도 빛을 발한다. 2막 내내 무대 중심을 차지한 거대한 돼지 모형, 아이들과 동물들을 관찰자로 내세워 객관적인 시각으로 극을 보게 하는 연출 방식, 적절한 웃음 포인트 등이 어우러져 공연 시간 170분이 지루하지 않다. 공연은 오는 6월 17일까지 서울 명동예술극장.
2024-05-27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