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극 ‘못 말리는 프랑켄슈타인’ 리뷰
한예종 연극원 개원 30주년 기념 공연
‘자객열전 2024’, ‘난중일기’ 등 예정
신체극 ‘못 말리는 프랑켄슈타인’의 한 장면. 한예종 제공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이 개원 30주년을 맞아 준비한 기념 공연 ‘못 말리는 프랑켄슈타인’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방황하는 섬뜩한 존재 ‘프랑켄슈타인’을 코믹한 상상력으로 재해석한 수작이다. 대사 없이 배우의 표정과 몸짓으로만 이야기를 끌어가는 신체극으로 뮤지컬·인형극 등 다양한 장르의 요소까지 매력적으로 담아냈다.
무대 중앙에는 큰 벽이 놓여있다. 이것을 경계로 양쪽에 각기 다른 공연이 펼쳐진다. 한쪽에선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다른 한쪽에선 크리처(피조물)의 시점으로 극이 진행된다. 두 이야기는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지만, 제한된 무대만을 관람하는 관객의 시선에서는 반대편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없다. 그저 소리만 들릴 뿐이다. 모든 관객은 1막이 끝난 후 반대쪽으로 자리를 옮기는데, 그제야 사건의 전모를 이해하게 된다.
황하영 드라마투르그(공연고문)는 “이전 무대로부터 남아 있는 경험의 잔상들을 퍼즐처럼 맞춰가면서 관객은 두 개의 공연을 하나로 만들어간다”고 말했다.
전면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무대가 삶의 세계라면 뒤편 크리처들이 꾸미는 공간은 죽음의 세계다. 거대한 벽으로 구분돼 있지만 실상 그러한가. 고상한 파티가 벌어지는 박사의 무대에 침입한 크리처들은 한바탕 ‘깽판’을 놓는다. 둘 사이의 경계를 지우는 반란이자 혁명으로 보이기도 한다.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연인이었던 엘리자베스(육소하 분)는 사망한 뒤 크리처로 부활한다. 크리처로서 세계와 교감하는 방법을 배우는 엘리자베스의 모습은 삶과 죽음 두 세계를 아름답게 연결한다.
순전히 몸의 움직임으로만 모든 걸 표현하고 있음에도 이야기의 흐름은 뚜렷하게 보인다. 이른바 ‘띵띵땅땅 챌린지’로 틱톡 등 플랫폼에서 유행했던 요소도 재치 있게 집어넣으면서 9년 전 무대와의 차별성과 함께 동시대성을 확보한다. 배우들의 과장된 몸짓은 현대인의 군상을 오롯이 담고 있다. 배우와 함께 널브러져 시체를 연기한 인형과 ‘눈먼 노인’으로 특별출연한 송상은·최재림의 ‘뮤지컬 모먼트’도 극에 다양성을 더한다. 절정에서 영국 록그룹 퀸의 명곡 ‘보헤미안 랩소디’가 흘러나온다. 오페라로 시작해 피아노와 하드록까지 다양한 면모가 강조된 이 노래는 마치 종합예술로서 ‘못 말리는 프랑켄슈타인’을 은유하는 동시에 시종 말없이 이야기를 따라가던 관객들의 갈증을 한 번에 해소한다.
남궁호 연출은 “‘못 말림’이란 일상에서 해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면서 “일탈, 어처구니없음, 황당함, 갑작스러운, 위트, 코믹, 놀라움의 순간을 경험하길 바랐다”고 말했다.
한예종 연극원 30주년의 첫 번째 공연으로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무대에 24~28일까지 무대에 올랐다. 연극원 내 교수진과 재학생·졸업생이 함께 꾸린 무대다. 한예종 연극원은 이후 ‘자객열전 2024’(5월 2~4일), ‘로미오와 줄리엣’(5월 30일~6월 1일), ‘설흔’(9월), ‘난중일기’·‘우리 읍내’(11~12월) 등의 공연을 더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