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 협주곡 ‘NOMAD’를 연주하는 민영치. 국립국악원 제공
13~14일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예악당을 들썩이게 한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올해 네 번째 기획공연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는 연주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악기를 위한 곡을 써 국악관현악단과 함께 연주하면서 각자의 개성을 진하게 드러낸 시간이었다.
관현악단과 개인 연주자의 협연은 동서양 음악을 불문하고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그러나 연주자가 직접 자신의 악기를 중심에 놓고 곡을 썼다는 점에서 이번 무대가 더 특별했다. 사람이 아무리 타인을 골똘히 생각한다고 해도 나올 수 없는 진정한 음악적 영혼이 마음껏 발현되면서 관객들의 영혼까지 깊이 울렸다.
거문고 협주곡 ‘향류’ 공연 장면. 국립국악원 제공
이선희 작곡의 거문고 협주곡 ‘향류’(響流)는 한반도에 우리 고유의 음악이 흐른다는 뜻을 담은 곡이다. 우리 고유의 선법과 장단들을 거문고 음악으로 재탄생시켜 한반도에 흐르는 창조적 에너지의 흐름을 생생하게 포착해내면서 공연의 문을 활짝 열었다.
이영섭 작곡의 소금 협주곡 2번 ‘Born Von 本’은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는 ‘종묘제례악’과 후손들의 가정의 제액초복(除厄招福·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이다)을 비는 ‘동해안별신굿’ 조상굿 중 ’어청보‘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음악적으로는 달라도 염원하는 바가 같은 두 음악을 녹여내면서 웅장한 선율을 만들어냈고, 전통적 기법에 충실한 선율을 통해 소금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줬다.
이영섭의 소금 연주. 국립국악원 제공
여수연의 해금 연주. 국립국악원 제공
서정미 작곡의 씻김을 주제로 한 대금 협주곡 ‘竹魂’(죽혼)은 대금산조의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장단 위에 ‘진도씻김굿’에 나오는 ‘길닦음’ 선율을 얹은 대금 협주곡이다. 대금의 음역대, 악기 특유의 시김새와 주법을 최대한 활용했다. 한국 고유의 주제와 정서에 기반했지만 외국인이 들어도 반할 선율로 듣는 이를 대금의 매력에 빠지게 했다.
대금을 연주하는 서정미. 국립국악원 제공
음악평론가 이소영은 이번 무대에 대해 “오롯이 연주자가 작곡가가 되어 곡 전체를 책임지고 이를 무대에서 실연하는 현장이 펼쳐지기에 역사적인 또 하나의 관문을 통과하는 날로 훗날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 이번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는 국악관현악의 근원적인 모습부터 최첨단의 파격까지 두루두루 선보이면서 국악관현악의 매력을 한껏 뽐낸 명품 연주로 기억될 무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