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과 저항의 알레고리…원작으로 톺아보는 ‘혹성탈출’ 세계관

전복과 저항의 알레고리…원작으로 톺아보는 ‘혹성탈출’ 세계관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4-05-13 11:07
수정 2024-05-13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佛 작가 피에르 불 1963년 원작 소설
오리지널 5편·리부트 3편 등 총 10편
인간적인 것과 주체로서 여성의 목소리
노아와 대홍수 등 성경 떠오르는 비유

이미지 확대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스틸컷. 왼쪽부터 주인공 노아와 인간 소녀 메이, 오랑우탄 유인원 라카. 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스틸컷. 왼쪽부터 주인공 노아와 인간 소녀 메이, 오랑우탄 유인원 라카. 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반세기 전 출간된 짤막한 소설 한 권에서 무려 10편의 영화가 탄생했다. 프랑스 SF작가 피에르 불(1912~1994)의 1963년작 ‘혹성탈출’ 이야기다. 인간과 유인원의 위계를 전복하는 상상력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되고 있다. 지난 8일 개봉한 영화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도 이런 맥락의 연장선에 서 있다. 영화 속 장면들의 의미를 원작 소설과 앞선 영화(오리지널 5편·리부트 3편)와 비교하면서 짚어봤다.

인간적인 것의 경계
이미지 확대
1968년 영화 ‘혹성탈출’에서 유인원들이 인간을 사냥하는 장면(왼쪽)이 지난 8일 개봉한 영화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에서 오마주됐다. 20세기스튜디오·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1968년 영화 ‘혹성탈출’에서 유인원들이 인간을 사냥하는 장면(왼쪽)이 지난 8일 개봉한 영화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에서 오마주됐다. 20세기스튜디오·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풀이 우거진 숲으로 내몰린 인간들을 말을 탄 고릴라들이 사냥한다. 지성을 잃은 인간은 저항은커녕 도망치기 바쁘다. 인간이 고릴라에게 마구 죽임당하는 모습은 동물을 타자화하고 학살했던 인간의 만행을 거꾸로 보여준다. 1968년 오리지널 1편의 이 장면은 개봉 당시 관객에게 상당히 큰 트라우마를 남겼다. ‘새로운 시대’ 웨스 볼 감독도 “여기서 강한 인상을 받았다”고 밝히며, 비슷한 장면으로 오마주한다.

소설에서는 주인공 윌리스의 시선에서 더욱 극적으로 묘사된다. 항성 간 우주여행의 목적지였던 행성 ‘소로르’는 지구와 상당히 비슷하다. 약간의 친근함마저 느끼려던 차, 별안간 총성이 울리고 정글은 아수라장이 된다. 필사적으로 도망치는 윌리스가 망연자실한 것은 ‘지구인처럼’ 차려입은 고릴라를 봐서다. 확고했던 ‘인간적인 것’의 경계가 여지없이 무너져 내리는 순간. “갈색 저고리는 파리 최고의 양복점에서 맞춘 것 같았고, 대형 격자무늬 셔츠는 우리 운동선수들이 입는 옷과 흡사했다.”(소설 56쪽)
이미지 확대
소설 혹성탈출 표지.
소설 혹성탈출 표지.
‘새로운 시대’의 주인공 노아가 속한 ‘독수리 부족’은 인간을 ‘에코’라고 부른다. 메아리를 뜻하는 에코는 그리스 신화 속 헤라 여신의 미움을 사 타인의 말만 반복하는 벌을 받은 요정이다. 리부트 3편 ‘종의 전쟁’에서 ‘시미안 플루’로 자체적인 언어·사고 능력을 상실한 인간들을 칭하기에 더없이 적절하다. 다만 메아리가 ‘목소리의 모방’이라는 점은 꽤 의미가 있다. 소설에서 ‘모방’은 유인원이 인간의 문명을 따라잡는 결정적인 능력이기 때문이다.

노바와 여성성
이미지 확대
혹성탈출1(1968) 스틸컷. 오른쪽이 ‘노바’라고 명명된 여성이다. 배우는 린다 해리슨. 20세기스튜디오
혹성탈출1(1968) 스틸컷. 오른쪽이 ‘노바’라고 명명된 여성이다. 배우는 린다 해리슨. 20세기스튜디오
“이 눈부신 미녀가 막 출현했을 때 나는 낭만적인 흥분에 휩싸여 그녀에게 노바(Nova)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갑자기 출현한 그녀가 눈부신 신성(新星)에 견줄 만했기 때문이다.”(37쪽)

매혹적인 여성 노바는 ‘혹성탈출’ 시리즈 전체에서 논쟁의 소지가 있는 인물이다. 지성이 없는 노바는 동물에 가까운 존재다. 오로지 육체적인 매력만으로 윌리스의 성적 욕망을 자극하는 노바를 향한 시선은 비판적으로 검토될 여지가 있다.
이미지 확대
혹성탈출 리부트 3편 종의 전쟁 스틸컷. 가운데 소녀는 ‘시미즈 플루’에 걸려 언어와 사고 능력을 잃고 유인원들로부터 ‘노바’라고 불린다. 20세기폭스 제공
혹성탈출 리부트 3편 종의 전쟁 스틸컷. 가운데 소녀는 ‘시미즈 플루’에 걸려 언어와 사고 능력을 잃고 유인원들로부터 ‘노바’라고 불린다. 20세기폭스 제공
리부트 시리즈에서는 노바를 다른 방식으로 계승한다. ‘종의 전쟁’에서 지능을 잃어가지만, 유인원 안에서 길러지는 인간 소녀(아미아 밀러 분)에게 이 이름이 주어진다. 성적인 대상화의 맥락은 없어졌지만, 여전히 주체가 아닌 객체에게 부여되는 이름이라는 점에서 수동성을 상징한다. ‘새로운 시대’에서 잠시 노바의 이름을 받았던 소녀(프레이아 앨런 분)은 “나의 이름은 메이”라고 당당히 밝힌다. 타자에 의한 명명을 거부하는 메이 이후 ‘혹성탈출’ 속 여성들은 노바라는 이름에 씌워진 대상화의 굴레에서 벗어난다.

성경의 이미지와 ‘새로운 시대’
이미지 확대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스틸컷. 로마의 황제를 연상케 하는 원숭이들의 왕 프록시무스. 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스틸컷. 로마의 황제를 연상케 하는 원숭이들의 왕 프록시무스. 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새로운 시대’에는 유독 성경의 상징이 많이 등장한다. 노아가 밀려드는 바닷물에서 부족을 구해내는 장면은 구약성경 창세기 속 대홍수와 방주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유인원들의 지도자였던 시저의 사상을 자기 멋대로 해석하며 심지어 “나는 시저다”라며 그를 참칭하는 프록시무스는 로마의 황제를 연상케 한다. 그와 대결하는 노아를 위기에서 구해주는 존재인 독수리는 성경에서 신의 대리자로 표현된다.
이미지 확대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스틸컷. 주인공 노아와 독수리가 교감하는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스틸컷. 주인공 노아와 독수리가 교감하는 장면. 월트디즈니컴퍼니 제공
이번 영화는 제목처럼 새 시리즈의 서막이다. 그러나 시저의 당부와는 다르게 앞으로 인간과 유인원 사이의 불화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잃어버린 걸 복구하는 인간이 빠를까, 인간을 모방하는 유인원이 빠를까. 영화의 결말이 나려면 아직 멀었으니, 소설로 가보자. 유인원들의 혹성인 소로르를 탈출해 우주선을 타고 700년 후의 지구로 돌아온 윌리스. 그는 공항에서 이런 광경을 목격한다.

“운전사가 트럭에서 내렸다. … 그 모습을 본 노바는 비명을 지르더니 내게서 아들을 빼앗고 황급히 착륙선 안으로 피신했다. 나는 제자리에서 꼼짝달싹할 수 없었다. 어떤 손짓도, 어떤 말도 할 수가 없었다. 관리는 고릴라가 아닌가.”(239~240쪽)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