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계 원캐스팅 vs 멀티캐스팅 격돌

뮤지컬계 원캐스팅 vs 멀티캐스팅 격돌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5-21 00:00
업데이트 2015-05-21 0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열정올인 vs 삼인삼색

“오늘은 소팬텀(박효신·‘소몰이 창법’에서 유래), 내일은 류팬텀(류정한)으로 볼 거예요. 카팬텀(카이)도 봐야 하는데 상대 배우는 누가 좋을까요?”

‘데스노트’ 김준수
‘데스노트’ 김준수
이미지 확대
‘팬텀’ 카이
‘팬텀’ 카이
이미지 확대
‘팬텀’ 박효신
‘팬텀’ 박효신
이미지 확대
‘팬텀’ 류정한
‘팬텀’ 류정한
뮤지컬 ‘팬텀’을 둘러싼 한 뮤지컬 팬의 고민이다. 지난달 개막한 뮤지컬 ‘팬텀’은 류정한과 박효신, 카이의 ‘삼인삼색’ 연기를 비교하며 보려는 관객들이 몰리고 있다. 뮤지컬 ‘체스’(6월 18일 개막)는 주인공 아나톨리 역에 조권(2AM)과 키(샤이니), 신우(B1A4), 켄(빅스) 등 아이돌 스타 4명이 캐스팅돼 소녀팬들을 들썩이게 하고 있다.

반면 뮤지컬 ‘데스노트’(6월 20일 개막)는 홍광호, 김준수, 정선아 등 모든 배우들이 배역을 혼자 맡는다. 지난 17일 개막한 뮤지컬 ‘유린타운’은 최정원과 아이비, 성기윤 등 주인공 바비 스트롱 역을 제외한 모든 역의 배우들이 전 회차를 소화한다. 이처럼 올여름 뮤지컬계에는 한 배역을 여러 배우들이 맡는 ‘멀티 캐스팅’과 한 배우가 전담하는 ‘원 캐스팅’ 뮤지컬들이 격돌한다. 각각의 손익계산서도 극명히 갈릴 것으로 보인다.

멀티 캐스팅은 한국 공연시장의 특수한 관행으로 여겨진다. 브로드웨이와 웨스트엔드 등에서는 한 캐릭터를 배우 한 명이 도맡는 것이 당연하지만, 한국에서는 한 배역을 두 명 이상의 배우가 돌아가면서 연기하는 것이 당연시돼 왔다. 이는 ‘회전문 관객’(한 작품을 여러 차례 보는 관객)을 유도하기 위한 제작사의 마케팅 전략이다. 같은 배역이라도 배우마다 해석과 연기를 다르게 해, 한 번 공연을 본 관객이 다른 배우가 나오는 회차의 공연을 또 보도록 하는 것이다. 작품 홍보를 위해 뮤지컬 배우뿐 아니라 탤런트나 아이돌 가수들을 섭외하고, 이들의 바쁜 스케줄을 고려하다 보니 생겨난 현상이기도 하다.

“한국 공연시장에서 부득이한 선택”이라는 하소연도 나온다. 티켓 파워를 가진 배우는 소수인 반면 이들을 섭외하려는 작품은 많아, 배우들 대부분은 두 작품에 동시에 출연하거나 한 작품을 하는 동안 다음 작품을 연습한다. 한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공연되는 작품이 워낙 많아 배우들을 한 작품에 ‘올인’하도록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연기획사 관계자는 “스타와 신인을 번갈아 무대에 세우지 않고 스타 배우만으로 공연을 끌고 가기에는 개런티를 감당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원 캐스팅이 배우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지난해 ‘시카고’에 이어 올해 ‘유린타운’에서 원 캐스팅으로 무대에 오르는 배우 최정원은 “상대 배우가 자꾸 바뀌면 한껏 끌어올렸던 호흡이 원점으로 돌아가곤 한다”면서 “원 캐스팅은 상대 배우와의 호흡을 극대화해 공연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멀티 캐스팅은 한 배역을 맡은 배우들이 많을수록 서로 호흡을 맞춰 갈 기회가 줄어든다. 배우들이 번갈아 가며 한 장면을 연습하는 동안 같은 연기를 반복해야 하는 앙상블 배우의 고충도 상당하다.

원 캐스팅은 배우들의 체력과 컨디션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 관건이다. 배우가 무대에 오르지 못할 경우 이를 대체하는 ‘커버 배우’가 준비돼 있지만 국내에서 커버 배우의 공연은 익숙하지 않다. 멀티 캐스팅은 이 같은 사태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공연계에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한 배역을 맡은 배우들 간 실력차가 뚜렷할 경우 같은 티켓값을 주고도 질이 다른 공연을 봐야 한다는 모순은 문제로 지적된다.

원종원 뮤지컬 평론가(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원하는 배우를 ‘골라 보라’는 멀티 캐스팅은 스타 배우 위주의 뮤지컬 시장 구조를 더욱 고착화시킬 것”이라면서 “작품성이 아닌 스타 배우를 내세워 단기간에 표를 팔려는 공연계의 관행에는 ‘분갈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5-21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