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 단원 - 스태프 이어주는 ‘메신저’ 될 것”

“감독 - 단원 - 스태프 이어주는 ‘메신저’ 될 것”

입력 2014-07-03 00:00
업데이트 2014-07-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수열 서울시향 부지휘자

지난해 9월 정명훈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이 처음 이끈 지휘 마스터클래스가 끝나고 지휘자 6명이 정 감독과 마주 앉았다. 한 명 한 명에게 장단점을 얘기해 주던 정 감독은 최수열(35) 지휘자에게 “(지정곡을) 잘 알고 있는 것 같더라. 별 문제 없었다”는 간명한 평가만 들려줬다.
이미지 확대
오는 11월 5일 ‘서울시향 음악이야기’의 부지휘자로 첫 데뷔 무대를 가질 최수열 지휘자는 “정기 연주회도 중요하지만 시향의 정체성과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 교육·공익 공연의 질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오는 11월 5일 ‘서울시향 음악이야기’의 부지휘자로 첫 데뷔 무대를 가질 최수열 지휘자는 “정기 연주회도 중요하지만 시향의 정체성과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 교육·공익 공연의 질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5개월 뒤 정 감독은 성시연 현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의 부재로 공석이 된 부지휘자 자리에 그를 낙점했다. 지난해 마스터클래스에서 치러진 감독·단원 평가에서 최고점을 받은 것이 크게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취임 첫날인 지난 1일 서울 세종로 시향 사무실에서 만난 최수열 부지휘자는 “‘빛 좋은 개살구’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겸손한 말로 소감을 대신했다. 지휘자 지망생 10명 가운데 1명도 자리 잡기 힘든 현실에서 그는 줄곧 ‘차세대 지휘자’로 불리며 쉼없이 이력을 이어왔다. 한국예술종합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던 2004년 제주시립교향악단과 연주한 것이 첫 무대 경험이니 벌써 데뷔 10년을 맞는 셈이다. 국내외에서 숱한 오케스트라를 이끌며 순발력과 적응력을 키워온 그가 몸으로 익힌 지휘자의 조건은 뭘까.

“정명훈 감독님이나 제 은사님(정치용 한예종 교수) 등 거장들에겐 공통분모가 있어요. 악보를 놓지 않아야 한다는 거죠. 지휘자에게 악기는 오케스트라지만 늘 그 악기를 만질 수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 악보를 보면서 작곡가, 작품과 만나는 시간이 제일 중요합니다. 그걸 게을리하는 순간 지휘자로서 힘을 잃을 수밖에 없어요. 그래서 연주자들은 ‘연습한다’고 하는데 지휘자들은 ‘공부한다’고 해요. 성격이 다 다른 악단의 기량을 한껏 이끌어낼 수 있는 소통 능력도 시간이 갈수록 어렵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제죠.”

그가 시향과 인연을 맺은 건 2009년. 2011년부터는 진은숙 작곡가가 주도하는 현대음악 프로그램 ‘아르스 노바’ 부지휘자로 활동해 왔다. 그가 수년간 곁에서 봐온 시향은 “개개인의 기량이 뛰어날 뿐 아니라 서로의 소리도 들을 수 있고, 깊고 중후한 사운드를 지닌 오케스트라”다.

부지휘자로서 그는 ‘메신저’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저는 정 감독님과 단원, 단원과 스태프 사이에 있는 중간자예요. 양쪽을 잇는 동시에 감독님이 큰 흐름을 잡을 수 있게 단원들이 놓치는 세세한 부분을 잡아내는 것,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고 필요한 역할이라면 뭐든 해야죠. ‘시향과 멋지게 한번 연주해 봐야지’ ‘큰 무대에 서야지’ 등 제가 화려해지기 위한 기회가 아니라고 스스로 최면을 걸고 있어요.”

현대음악 작곡가인 아버지(최동선)는 이날 아들에게 “너의 첫 번째 진짜 음악 인생이 시작되니 겸손하게 일하라”는 문자를 보내 왔다. 인문계 고교에 다니던 그에게 클래식 음악의 매력을 처음 알려준 것도 아버지가 소장하고 있던 클래식 음반들이었다. “지휘자로서 최종 목표는 좋은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기보다 좋은 오케스트라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의젓한 대답에선 이미 아버지의 조언을 몸에 새긴 듯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7-03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